![]() |
장사익. [화보]
|
[시대의 소리꾼 장사익]② 아버지 장구가락 ‘유전자’
그는 말하자면 중원에 어느날 갑자기 나타난 검객과 같았다. 그의 노래가 무명의, 문파와 족보가 없는, 그러나 기막히게 칼을 잘쓰는 이를 닮은 까닭이다. 느린 듯하면서 상대의 공격을 잘 막아냈고, 막아내는 자의 빈틈을 찾아 송곳같이 파고들었다. 그가 휘두르는 검은 도(刀)도 아니고, 검(劍)도 아니고, 창(槍)도 아니었다. 처음보는 무서운 무기였다. 그가 그 무기를 휘두르면 추풍 낙엽처럼 쓰러졌다. 남들보다 5도 정도 높은 고음으로 시원스럽게 질러대는 탁성(濁聲)은 듣는 이들을 고압전류에 감전시키곤 한다. 시원스레 지르는 탁성…국악도 아닌 것이 가요도 아닌 것이 “그의 노래를 듣노라면 머리 뒷쪽이 아련히 시려오고, 가슴이 시원하게 뚫리는 느낌”이라거나 “즐겁거나 슬플 때나 그의 노래를 크게 틀어놓고 목청이 터져라 따라 부르면 최고의 카타르시스가 온다”는 평이 자연스럽게 뒤따른다. 그의 노래는 가요도, 국악도 아니다. 반주가 필요 없을 것 같은 새로운 장르다. 이런 깊은 내공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
![]() |
정원을 꾸미고 있는 도자기 인형. 이길우 기자
|
![]() |
2층 응접실에서 바라본 정원 모습. 갖가지 표정으로 노래하는 장승의 모습이 이채롭다.
|
“로커도 범접하기 어렵고 재즈 보컬도 무력하게” 대중음악평론가 강헌씨는 “그의 목소리에는 우리가 오랫동안 잊고 살았던, 세속으로부터 초연한 봉건시대 가객의 혼이 깃들어 있다. 하나하나의 음과 낱말을 포착하는 기백은 어떤 탁월한 록 보컬리스트도 범접하기 어려운 경지이고, 여음과 여음 사이를 절묘하게 떠다니는 표현력은 어떤 절세의 재즈 보컬도 무력하게 한다”고 장사익을 평했다. 장사익은 “나의 어린 시절은 구수한 돼지냄새가 아련하다”고 말했다. “10여년전 돌아가신 아버님(장세웅)께서는 시골 충남 광천에서 돼지를 길러 사고 파셨어요. 그래서 아버지 몸에서는 항상 구수한 돼지냄새가 났지요. 동네에서 잔반을 모아 돼지밥을 만들어 돼지를 키우셨어요. 3남4녀의 장남인 나는 당연히 아버지를 많아 따라 다녔어요. 아버지는 동네에서 유명하신 장구잡이였어요. 아버지가 돼지를 몰며 장구가락을 치셨고, 그 가락이 몸에 스몄나 봐요. 어릴땐 돼지를 타고 놀았으니, 돼지와 나와의 인연은 깊은 셈이죠.” 초등 때 웅변으로 목청 트고 고교 땐 ‘더 빡빡스’ 보컬
![]() |
장사익이 쓴 병풍. 천국은 자신의 집을 부르는 말이다. ‘천국은/겨울햇살이 저만큼 음지까지 오고/따사한 맘이 가득한/좋은 소리가 항상 살아있는 내집/이곳이 정말 天國이야’라고 썼다.
|
![]() |
보이차를 따르고 있는 장사익.
|
장사익의 ‘국밥집에서’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