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년 연극연출 외길 임영웅씨
|
50년 연극연출 외길 임영웅씨
깐깐하다. 배우들에게 한치 틈도 주지 않는다. 예술의 진정한 힘을 믿어온 칠순의 백전노장. 낮엔 ‘사랑과 우연의 장난’, 오후엔 ‘산불’ 연습현장을 오늘도 오간다. 그는 영원한 현역이다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 2층 연습실. 무대 왼쪽 한 귀퉁이에 두툼한 돋보기 안경을 걸친 한 백발의 노인이 대본에 코를 박고 앉아 있다가 이따금 슬며시 눈을 치켜뜨고 배우들을 ‘노려본다’. 배우들의 연기가 성에 차지 않는 듯 차를 한 모금 마시고 입을 다신 뒤 대뜸 일성을 내지른다. “이건 리얼한 분위기가 아니야. 희극이란 말이야. 꿈결을 바라보듯 낭만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보란 말이야!” 순간 연기에 빠져 있던 배우들이 멈칫하면서 주눅 든 표정으로 그를 바라본다. 참다못해 그가 무대로 나선다. “2막의 도랑트와 3막의 도랑트가 달라져야지. 자신의 신분을 고백했기 때문에 이제는 하인처럼 하면 안 돼. 좀 뻣뻣해도 된다고. 그런 것이 행동으로 나와야 한다고.”
|
〈사랑과 우연의 장난〉
|
한눈에 보기도 깐깐하다. 배우들에게 한 치 틈도 주지 않는다. 대사 한 마디 행동 하나에 지나칠 정도로 예술가의 고집스러움과 완벽함이 묻어난다. 임영웅(71·극단 산울림 대표)이라면 그럴 만하다. 50년이 넘도록 연출가의 외길을 걸어온 우리 연극계의 거목. 배우들을 혹독하게 몰아친다든지, 지독한 완벽주의자라는 등의 소문이 자자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연극을 하려면 독립운동 한다고 생각하고 해야 한다”며 예술의 진정한 힘을 믿어온 백전노장이다. 고희를 넘기고서도 여전히 현역인 그가 6월에만 두 작품의 연출을 맡았다. 오는 13일부터 7월1일까지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무대에 올리는 프랑스 희극 〈사랑과 우연의 장난〉과 22일부터 29일까지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공연하는 차범석 원작의 연극 〈산불〉. 그는 오전 10시쯤 남산 국립극장에 나가서 〈산불〉 연습을 지켜보다 오후 3시에는 강남 예술의전당으로 건너와 〈사랑…〉에 밤늦게까지 매달린다. 30~40대 젊은 연출가라도 버거운 일정이다.
|
〈산불〉
|
〈산불〉은 그렇다 치고 리얼리즘 연극을 추구해온 그가 희극 〈사랑과…〉의 연출을 맡은 것은 조금 의아스럽다. “저에 대한 헛소문들이 많이 돌아서, 심각하고 진지하고 무게 잡힌 작품만 하는 것으로 인상이 남은 것 같아요. 생각하기에 따라서 〈고도를 기다리며〉는 희극의 정점이라고 볼 수 있어요. 38년간 〈고도…〉를 해오면서 나는 코미디를 하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어요. 물론 차원이 다른 코미디이기는 하지만….” 그는 “연출가에게는 비극이든 희극이든 형상화하는 것은 똑같다고 생각한다”며 “운이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 희극 아닌 쪽의 작품을 많이 하게 되었다”고 에둘러 말한다.
국내 첫선을 보이는 〈사랑과…〉는 18세기 프랑스 작가 마리보의 대표적인 희극으로 신분차별이 심했던 18세기 프랑스에서 정략결혼을 강요당한 두 젊은 귀족 남녀가 각각 하인과 하녀로 ‘역할 바꾸기 장난’을 하다가 진실한 사랑을 찾는 과정을 해학과 풍자로 보여 주는 작품이다. 모처럼 연극무대에 돌아온 영화배우이자 탤런트 김석훈씨를 비롯해 김태범, 전진우, 최규하, 최광희, 이민정씨가 캐스팅됐다. “이 작품은 18세기 프랑스 귀족 사회 젊은 남녀간의 사랑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지금 공연해도 전혀 시대적인 괴리가 없어요. 요즘도 결혼을 지위나 신분, 재산 등 세속적인 잣대로 재고 있지 않아요?”
|
50년 연극연출 외길 임영웅씨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