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우 오달수(39·극단 신기루만화경 대표·사진 오른쪽)씨와 연출가 이해제(36·극단 신기루만화경 상임연출가·사진 왼쪽)씨
|
연극 ‘코끼리와 나’ 주연 오달수·연출가 이해제씨
사람들이 짧지 않은 삶을 살아가면서 느낌이 맞는 짝을 찾기란 쉽지 않다. 부부들도 그러할진대 하물며 남이야. 배우 오달수(39·극단 신기루만화경 대표·사진 오른쪽)씨와 연출가 이해제(36·극단 신기루만화경 상임연출가·사진 왼쪽)씨는 볼 때마다 ‘참 잘 어울리는 한쌍 같다’는 느낌이 든다. 16년 전부터 서로 온전히 열어놓는 믿음이 두 사람을 묶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또 그런 강한 믿음이 멀티미디어 시대에 두 사람이 연극이란 아날로그 작업을 계속하게 만드는 힘일 성싶다. 함께 극단 만들어 7년째 한솥밥이번엔 조선시대 코끼리 소재로
인간미 회복·상처 치유의 메시지 오-이 콤비가 21일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 무대에 연극 <코끼리와 나>를 올린다. 이전에도 두 사람은 배우와 작가로 함께 작업했지만 배우와 연출가로 짝을 이룬 것은 <해일> <나체질주자 수사본부> <몽타주 엘리베이터> <바다의 가면>에 이어 5번째다. 지난 4월 서울 동숭아트센터에서 이해제 연출이 올린 연극 <다리퐁 모단걸>에서는 오달수씨가 목소리로만 출연했다. <코끼리와 나>는 <태종실록>에 기록된 조선시대 최초의 코끼리 이야기를 바탕으로 인간과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코끼리 사이의 감동적인 휴머니즘을 해학적으로 그린 연극. 태종실록에는 ‘1411년 일본이 조선에 코끼리 한 마리를 바쳐 궁중의 가마, 마필 등을 관장한 관청인 사복시(司僕寺)에서 기르게 하였으나 이듬해에 이우 공조전서(판서)가 추하게 생겼다고 비웃으며 침을 뱉자 성난 이 코끼리가 코로 말아 땅에 쳐 죽이는 사건으로 재판이 열려 코끼리를 섬으로 유배를 보내었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다. 이해제씨가 연극판 5년 선배 오달수씨를 염두에 두고 시나리오을 쓰고 연출까지 맡았다. 따라서 나라를 구하기 위해 코끼리 ‘흑산’을 지켜야 하는 주인공 소도둑 ‘쌍달’ 역은 오달수씨의 몫이다. “이리저리 자료를 뒤지다가 태종실록에 나타난 코끼리 이야기를 보고 이야기가 참 재미있겠다, 재미있는 연극이 되겠다 싶었어요. 그러면서 누가 제일 코끼리를 잘 드러낼 수 있을까 ‘작전’을 짜다가 바로 달수 형이 생각나더라구요. ‘아, 이 인물은 달수 형인데’ 하고요. 그때는 달수 형에게 말씀 드리지 않고 시놉부터 먼저 짜서 제일 먼저 드렸죠.”
연극배우보다는 <음란서생> <친절한 금자씨> <주먹이 운다> <달콤한 인생> <올드보이> <뚝방전설> 등으로 충무로에서 ‘조연 스타’로 입지를 다진 오달수. 대학로에서 연극 <해일> <육분의 륙> <다리퐁 모단걸> 등으로 주목받고 있는 연출가 겸 극작가인 이해제. 두 사람은 서로에게 어떤 존재일까? 두 사람은 “일단은 작품을 떠나서 살아가는데 있어서 꼭 옆에 있어야 하는 친구” “안 그러면 혼자서 살아가는데 굉장히 곤란할 것 같은 힘이 많이 되는 사람”이라고 소개한다. 그렇다면 배우나 연출가로서 관계는? 오달수씨는 “해제 작품의 가장 큰 미덕은 대사도 물론 중요하지만 (배우들이) 지문들에서 정서를 많이 얻는다는 점이다”고 운을 뗀다. “연기를 하기 위해서 슬픈 일을 겪거나 아름다운 풍경 같은 것들을 굳이 떠올리지 않더라도 지문 안에 배우가 가져야만 될 풍부한 감수성이랄까 이런 것들을 많이 제시를 하고 있습니다. 배우로서는 그게 굉장히 좋죠, 따뜻하고.” 그는 “어쨌든 해제 작품에는 어떻게든 참여하려고 해요. <다리퐁 모던걸>에서 목소리로 출연한 것도 그 때문이고”라며 웃는다. 그러자 이해제씨는 “달수 형이 영화에서 코믹한 부분들만 부각되었지만 굉장히 많은 얼굴들을 가지고 있으며 제가 달수 형의 가면들을 많이 알고 있다”고 받았다. “배우로서 달수 형은 무대에서 있는 그대로 반응을 합니다. 그때 그때 생생하게 서로 배우들과 주고받는 기가 굉장히 큰 사람이거든요. 상대 배우에게 기를 나눠줘요. 그래서 대부분 배우들이 ‘달수하고 하면 이상하게 편하더라’고 이야기를 해요.” 그러면서 “배우는 수많은 가면들이 있어야 되는데, 그 가면들 속에 이번 작품에는 희극적이지만 슬픔을 계속 속으로 밀어넣고 있는 쌍달이라는 가면이 달수 형과 잘 맞아떨어지는 것 같다”고 캐스팅 이유도 설명한다. 그래서 대본을 쓰기가 쉬웠다고 덧붙인다. “이번 작품은 제가 달수 형과 너무 많이 붙어있다 보니까 달수 형의 호흡이 은연중에 배여져 있어서 그런지 어렵지 않았어요. 그 호흡을 같이 가고 있으니까 대본을 만들면서도 달수형의 어떤 모습들이 고스란히 그려지니까 쓰기가 쉬웠습니다.” “배우와 연출가는 어느 정도 팽팽한 긴장관계가 필요하지 않나”고 묻자 오달수씨는 “맞아, 맞아, 그런 것도 있기는 하지”라고 수긍하는데 견주어 이해제씨는 “그런 시기는 지났다”고 말한다. “원래부터 성격이 둘 다 야망이 있거나 이렇다 하게 거창하게 살아온 게 아니어서. 항상 연극 이야기하고 예술 이야기하고, 시와 문학 이야기하고 그게 다였지 뭐. 뭐가 되겠다 이런 거는 한번도 달수 형 입에서 들어본 적도 없고 제 입에서 그런 이야기도 나온 적도 없습니다. 그런 점에서 비슷한 점이 많아요.” 두 사람의 인연은 1991년 이윤택(서울예술단 책임감독)씨의 연희단거리패와 부산 가마골 소극장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연희단거리패가 가마골 소극장에서 벌인 연극 워크샵에 연극 지망생 이해제씨가 들렀다가 두 사람이 ‘운명처럼 눈이 맞았다’. 이해제씨는 그 워크샵에서 연희단거리패 배우 오달수씨가 배우들의 몸쓰는 기술을 보여주려고 추었던 ‘범부춤’에 눈이 끌렸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이러 저리 방황하고 있을 때였어요. 그 당시 시극이 좀 궁금해서 연극에서 찾을 길이 없을까 워크샵을 보러 갔어요. 그때 달수 형이 범부춤이라고 일반 평민들이 추는 춤을 보여주더라고요. 우연찮게 제가 처음 매력적으로 봤던 게 그 워크샵인데 그 춤이 제일 눈에 띄더라고요.”
|
한 극단을 7년째 함께 이끌어가고 있는 오-이 짝이 이번엔 ‘코끼리와 나’로 다섯편째 호흡을 맞췄다. 사진은 이번 공연에서 주연을 맡은 오달수씨의 연습장면.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