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에서 협연하는 베이스 연주자 스탠리 클락과 건반 연주자 조지 듀크. 그랜드민트페스티벌에 참여하는 밴드 ‘윈디시티’, 지난해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과 광명음악밸리축제 모습.
|
김소민 기자가 미리 가본 ‘음악페스티벌’
음악페스티벌의 좋은 점. 싸다. 그럴싸한 외국 음악가 왔다하면 거의 10만원이다. 페스티벌에서는 여러 음악가 공연 두루 보며 하루 종일 놀아도 5만원을 안 넘는다. 양만 따지니 우아하지 못한가? 그래도 어떤 귀는 소화기관인 위를 닮아 양이 어느 정도 돼야 섭섭하지 않다. 게다가 싼 게 비지떡도 아니라면, 그야말로 웬 떡이냐다. 기회는 이번 주부터 10월 첫째 주까지다. 페스티벌마다 특색도 있으니 취향은 이럴 때 쓰라고 있는 것이지 않겠나.
|
올해 자라섬국제페스티벌에서 조용필 대표곡을 편곡해 연주할 베이스주자 송홍섭과 페스티벌 현장에서 활짝 핀 코스모스
|
공짜라 더 좋은 대중음악 ‘클래식’ 그날 광명시의 밤은 그대의 낮보다 시끄러웠다 2005년 첫회 광명음악밸리축제를 취재하러 갔다. 놀러 간 거 아니었다. 오후 6시께부터 광명시민운동장에 사람들이 꾸역꾸역 모였다. 유명세 타는 밴드부터 홍대 클럽에서나 가끔 볼 수 있는 인디밴드까지 줄줄이 나오는데, 밤 10시가 넘어도 관객들이 집에 안 간다. “뭔 일이래?” 동네 마실 나온 아저씨, 그 아저씨를 따라 나온 개, 개는 짖어라 머리에 물 뿌리고 헤드뱅잉하는 젊은이, 그 젊은이의 어깨를 잡고 달리며 기차놀이를 하려는 또 다른 젊은이…. ‘개까지 노는데 왜 나만 일 해야 돼.’ 그래서 결국 놀다 왔다. 광명음악밸리축제는 공짜라서 더욱 사랑스럽다. 10월 5~7일 같은 장소에서 열리는데 올해는 색다른 분위기를 보탰다. 주제는 ‘더 클래식’, 다른 말로 하면 ‘한국 대중 음악도 뼈대 있는 집안이야!’ 정도다. 명예의 전당, 미국에만 있으란 법 있나. 여기도 하나 만들었고 거기에 이름 올릴 첫 번째 음악인은 타악기 주자 고 김대환이다. 최수일 총감독은 “한국 록의 1세대이자 전위적인 타악기 연주로 명성을 날린 분인데 기타주자나 작곡가들에 비해 별로 알려지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고 김대환, 자신이 타고 다니던 할리데이비슨 오토바이 엔진 소리에 맞춰 북을 쳤다는 연주자이자, 쌀알에 반야심경을 써 넣은 예술가다. 최 총감독의 ‘강추’ 프로그램도 고 김대환 헌정 공연이다. “김대환 옛 공연 영상이 나와요. 그러면 타악기 주자 이정오, 춤추는 박수진, 해금 연주자 강은일,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 재즈보컬 장정미 등이 차례로 따로 또 같이 즉흥연주를 하는 거예요.”(최수일) 설명 들어도 잘 모르겠다. “저도 봐야 알아요. 퍼포먼스에 가까운 공연이 될 거예요.” 너무 어려울까 걱정 말고 마실 나왔다고 생각하란다. 무대는 여러 군데다. 대중음악의 중진 신촌블루스의 엄인호, 이은미, 정원영 등이 주요 무대에 선다. 싫다? 그럼 슬슬 걷는다. 이번 무대엔 새로운 흐름을 보여주는 굴소년단, 딥플로우 등 신인들이 있다. 싫다? 또 슬슬 걷는다. 이현우, 박정아 등이 만드는 팝 무대다. 화끈한 게 좋다? 블랙홀, 크라잉넛 등의 무대로 슬슬 걸어 가면 그만이다. http://mvalley.org/main01.php.
‘쟁쟁한’ 가수들과 놀이 한판 남자친구만 공유로 바꾸면 세련은 완성된다 음악은 이미 준비됐다. 6~7일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열리는 ‘그랜드민트 페스티벌’, 올해가 첫 회라 분위기를 장담은 못하지만 출연진의 면면을 보니 세련미가 넘실거린다. 그러니까 말랑말랑하면서도 포근하면서도 신선하면서도 현대적인 분위기 정도라 할까. 공연을 기획한 이종현 마스터플랜 대표는 “라디오프로그램 <유희열의 올댓뮤직>이나 <음악도시>같은 분위기”라는데 모르겠다. “그러니까 도시락 먹고 게임도 하면서 공연도 보는 거죠.”(이종현) 장르야 따지자면 포크, 록 등 다양한데 그게 그리 중요해 보이진 않는다. 윤상, 이승환, 이승열, 빅마마…. 이름값 나가는 가수들이 포진해있다. 광고·드라마 배경으로도 주름 잡는 음악가들 한묶음이 더 있다. 펩시 배경음악의 주인공 ‘클라우드 룸’, 아파트 광고 속 노래의 주인공 스페이스 켈리, “괜찮아 다 잘될 거야~” 이한철, 드라마 <커피프린스 1호점>의 ‘더 멜로디’…. 유학중이라 콘서트 한번 보기 쉽지 않은 ‘루시드폴’, 자우림의 기타리스트 이선규와 김C 등이 결성한 밴드 ‘페퍼민트 클럽’…. 안타깝게도 짱짱한 면면답게 비싸다. 무려 4만4천~5만원이다. 그래도 따지면 남는 장사다. 이들이 두 세곡 부르고 들어가는 게 아니다. 단독공연과 비슷할 만큼 각각 1시간 남짓씩 무대에 오른다. 그중 한 공연 추천해 달라하니 이종현 대표 “특정 음악인 볼 생각 말고 그냥 쉬엄쉬엄 놀라”고 제안한다. 밴드들도 공연 끝난 뒤에 그럴 거란다. 레게 리듬 타는 밴드 ‘윈디시티’는 무대에서 내려온 뒤 잔디밭에 눌러앉아 북을 두드리며 놀 셈이다. 무대 밖 한 부스는 라디오 스튜디오처럼 꾸며 공연 끝낸 음악가들이 자기가 좋아하는 노래 틀어주고 이야기도 한다. www.mintpaper.com.
|
음악인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