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영대씨
|
‘붓질 반세기’ 기념화집 내고 전시하는 박영대씨
“땅을 그대로 뒀다면 수십 억원은 될 겁니다. 땅을 팔아서 보리밭 그림들만 남았지만 후회 없습니다.” ‘보리밭 작가’ 박영대(66·사진)씨가 붓질 50년을 기념해 화집을 내고 10월2일까지 인사아트센터(02-736-1020)에서 전시회를 열고 있다. 그의 화력 50년은 보리농사를 시작한 때부터 친다. 고교 졸업 뒤 늙은 아버지와 어린 동생들을 위해 6~7년을 ‘피 터지게’ 농사를 지었다. 보리는 물론 콩, 벼 등 청주 교외 미호천변(청원군 강내면)에서 될 법한 작물은 다 심고 거뒀다. 그러다 독학으로 교사 검정시험을 쳐 모교인 대성고교에서 미술교사로 10여년 교편을 잡았다. 상업고교인 탓에 수채화, 유화, 디자인 등 몽땅 다 가르쳤다. 그런 틈틈이 대학원에 적을 두고 조복순, 박생광 선생한테 사사했다. 1974년 국전에 청맥을 그린 ‘맥파’로 입선하면서 ‘보리밭 작가’가 됐다. “보리는 끈질긴 생명력을 상징합니다. 보릿고개를 넘어 질기게 살아온 우리네 삶을 말하기도 하고요.” 보리의 생명력 만큼이나 그의 보리사랑은 질기고 질겨 지금껏 반세기다. 물론 중간에 나무, 논밭 시리즈 등으로 ‘외도’를 했지만 따지고 보면 보리의 변주다. 보리밭에서 시작한 보리사랑은 보리를 말리는 맷방석으로 넘어갔다가 80년대 들면서 해체 과정을 거쳐 추상으로 건너뛴다. ‘태소’, ‘율-생명’ 시리즈가 그것. 보리와 봄볕과 종달새 이전의 원초적인 생명을 함유한 씨앗의 거대한 율동. 그것은 기의 흐름이 되어 태극 또는 물결문양으로 꿈틀거린다. 하지만 보리밭 이랑에 물결진 봄바람 자국처럼 친근하게 다가온다. 고졸 뒤 가난 이기려 ‘피 터지게 보리농사’독학으로 국전 입선…30여년 ‘보리밭 작가’
16개국 순회전시 뒤 추상으로 “심상 표현”
|
박영대씨의 보리밭 주제 작품들. ‘맥파’ ‘황맥’ ‘율-생명’(왼쪽부터).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