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르셀로나 인 48아워스
|
더위 날리는 국제춤판 둘
초여름 서울에서 국제적인 춤판이 동시에 펼쳐진다. 국내외 현대무용계의 흐름을 보여주는 국내 최고의 무용축제인 국제현대무용제(5월27일~6월7일 대학로 아르코예술극장, 남산 동랑예술원 등)와 세계 발레스타들의 갈라쇼 ‘2008 세계 발레스타 페스티벌’(6월5~6일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이다. 현대무용 실험적 무대 선보여 한국현대무용협회가 주최하는 제27회 국제현대무용제(‘모다페’·www.modafe.org)는 올해 주제를 ‘움직임의 파괴, 표현의 해방’으로 정하고 외국 아방가르드 무용축제에서 움직임의 진보를 시도해 호평받은 작품들을 초청했다. 또 그동안은 외국 무용단체를 초청해 개막 공연을 선보였는데 올해는 공모로 뽑은 한국 현대무용 작품으로 무용제를 시작한다. 개막작으로 선정된 국내 무용작품은 황미석 안무의 <노란 달팽이>와 이용우 안무의 <더 프리덤 오브 더 윌>이다. <노란달팽이>는 선입견과 편견이 난무하는 시대를 달팽이를 통해 통찰하는 작품이고, <더 프리덤 오브 더 윌>은 주변환경에 막연히 적응해가는 인간의 박약한 의지를 표현해 해방의 염원을 그린다. 올해에는 국외에서 네 작품을 초청했는데, 벨기에 거장 얀 파브르의 <여자가 남자의 주역이었을 때>가 가장 기대를 끈다. 얀 파브르는 2년 전 오줌이나 눈물 같은 사람의 타액을 활용한 전위극 <눈물의 역사>로 국내 무용계에 충격을 주었는데, 이번 작품 역시 맨몸의 여성 무용수가 올리브 기름이 뿌려진 무대 바닥을 뒹굴면서 몸의 실재에 대해 철학적인 사유를 보여주는 파격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유럽에서 활동 중인 한국 무용수 허성임이 출연한다. 미국 안무가 데이비드 잠브라노의 <바르셀로나 인 48아워스>는 남자 무용수 두 명이 재즈밴드의 음악에 맞춰 이틀의 여정을 춤과 영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02)765-5352.
|
여자가 남자의 주역이었을 때 / 마농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