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슈퍼맨처럼!>에서 휠체어에 의지하는 장애아로 나오는 김동규(가운데)씨 등이 연습을 하며 환하게 웃고 있다.
|
학전 아동뮤지컬 ‘슈퍼맨처럼!’ 연습 현장
걷지 못해도 씩씩한 동규와 가족들‘장애는 차별 아닌 차이’ 보여줄 것 “내가 할 수 있는 일도 할 수 없는 일도 많지만/ 한번 해보지도 못한다는 게 바로 문제지 흥!/ 나도 한번 시켜줘 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두 눈 뜨고 똑바로 봐! 놀래 뒤로 자빠질걸?” 14일 오후 대학로 극단 학전 연습실. 동규가 휠체어를 밀며 여동생 은영과 노래 <나도 한번 시켜줘 봐>를 부르고 있다. 초등학교 6학년인 동규는 교통사고로 휠체어에 의지해 생활하지만 영화 속 슈퍼맨처럼 건강하고 밝은 어린이다. “아니지, 손으로 다리를 옮겨야지, 다리를 움직여선 안돼. 동규, 네 다리는 아무런 힘이 없고 기능도 못하잖아. 오케이, 다시 한번!” 김민기(57) 학전 대표가 연신 담배를 피워대며 특유의 저음으로 배우들의 동작 하나하나를 꼼꼼하게 살핀다. 탁자 위에는 담배꽁초가 수북하다. 그는 녹차를 한 모금 달게 마시더니 입으로 음향효과를 넣는다. “잘 부르려고 하지 말고 아이들처럼 씩씩하게 불러봐! 궁짝 궁짝 궁짝 궁짝, 라이트인!” 배우의 노래가 다시 이어진다. “푸른 가로수에도 똑같은 이파린 단 한개도 없죠?/ 우린 서로 다른 수백만의 장애를 가진 바로 사람!~” 국내 최장수 뮤지컬 <지하철1호선>으로 유명한 극단 학전이 오는 29일부터 대학로 학전블루 소극장에 올리는 아동 뮤지컬 <슈퍼맨처럼!> 공연을 앞두고 비지땀을 흘리고 있다. <슈퍼맨처럼!>(원작 폴커 루드비히&로이 키프트·음악 비르거 하이만)은 <우리는 친구다>, <고추장떡볶이>에 이은 학전의 세번째 아동극이다. <지하철1호선>의 원작팀인 독일 그립스극장의 뮤지컬 <스트롱거 댄 슈퍼맨>을 김 대표가 번안·연출했다.
<슈퍼맨처럼!>은 장애인의 일상적인 생활과 고민을 가감 없이 사실적으로 보여주는 게 큰 특징이다. 영화 <뷰티풀 마인드>의 천재 교수나 <말아톤>의 달리기 소년처럼 재능을 가진 ‘특별한’ 주인공이 등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소 ‘인위적인’ 감동을 이끌어내려 하지도 않는다. 뮤지컬은 교통사고로 1급 장애인이 된 초등학생 동규와 개구쟁이 여동생 은영, 보험설계사로 힘겹게 생계를 꾸려가는 엄마 등 세 가족의 이야기다. 뉴타운 재개발 지역으로 이사온 동규와 은영 남매가 주변의 편견을 극복하고 새 친구 승원과 사귀는 과정을 통해 장애는 ‘차별적인 요소’가 아니라 ‘차이와 다양성’이라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보여준다. “장애인차별금지법이 통과되었고, 장애아와 비장애아를 의무적으로 통합교육 하게 되어 있지만 학부모들의 반발로 시행은 잘 안되고 있습니다. 그런 게 우리 현실이죠.”
|
김민기(57)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