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래동 철재상가 2~3층을 도요하시 조선초급학교로 재현했다. 임종업 선임기자
|
다큐 작가 안해룡 사진전
도요하시 조선학교 60년문래예술공단에 옮겨와 비가 추적거리는 서울 문래동 철재상가 단지의 20일 오후. 칙칙한 낡은 건물들이 셔터를 내리면서 쏴한 쇳가루 냄새를 차단할 무렵, 사람들이 하나 둘 두리번두리번 새한철강을 찾아와 우산을 접었다. ‘학교법인 아이치조선학원 도요하시 조선초급학교’. 흰 바탕 먹글씨 임시간판이 걸린 문을 지나 계단을 오르면 지저분한 벽에 10, 20년 단위로 시간을 끊은 흑백사진들이 걸렸다. 일본 아이치현 도요하시에 있는 도요하시 조선초급학교의 1945년부터 2004년까지의 60년 역사다. 낡은 교사 앞 조회, 가을 운동회, 봄 소풍…. 우리의 옛 시골 초등학교의 가난함과 다를 바 없고, 사진은 소풍이나 학예회 때나 찍는 것이라고 여겼던 점도 똑같다. 이 학교는 우리말 우리글을 가르치기 위한 국어강습소에서 출발했다. 자주학교로서 이곳을 폐쇄하려는 미군정과 일본 경찰들의 물리력에 맞서며 민족교육을 해왔다. 학부모들은 자녀들의 조선인 됨을 지키기 위해 사립학교보다 더 비싼 학비를 마다지 않았다. 하지만 한때 150명이 넘던 학생들은 이제 유치원을 포함해 27명으로 줄어들었다. 계단을 올라 3층 철문을 열면 문래예술공단의 본부이자 전시실을 겸한 ‘랩 39’다. 지금껏 흑백세계가 컬러세상으로 바뀌면서 추억에서 화들짝 깨어난다. ‘아이들아, 이것이 우리 학교다’ 사진전. 다큐멘터리 작가 안해룡(48)씨가 6년여 동안 도요하시 조선초급학교를 드나들며 찍은 사진들이 걸렸다. 10월10일까지.(070-7578-5439) 작가는 “조선학교에는 민족을 가르치고 배우는 학교라는 울타리를 넘어서서 도요하시 지역에 사는 모든 동포들의 삶이 투영된 커뮤니티가 숨쉬고 있었다”고 말했다.
|
도요하시 조선초급학교 김구미 교사가 복도를 지나가면서 조마유 어린이와 눈을 맞추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안해룡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