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창홍:시대의 초상’전에 나온 안씨의 근작들. <베드 카우치 1>
|
안창홍 ‘시대의 초상’전
2년 전 폐암수술 뒤 목숨 건 창작
‘근대화 열매 누가 차지했나’ 따져
“시대와 동떨어지면 화가 아니다”
역사는 무엇인가. 당신은 역사를 무엇이라고 믿는가. 진짜 역사를 누가 어떻게 쓴다고 생각하는가. 철 지난 듯한 과거 한국인들의 사연 담긴 사진들을 소재로 작업해온 민중미술 작가 안창홍씨가 새삼 묻는다.
‘기모노를 입은 박영도-장연홍’. 그들은 왜 홍등가에서 노래를 불러야 했을까. ‘정신대’로 끌려가지는 않았을까. ‘단기 4283년 1월 장년을 마지한 친우들’. 흰 저고리-검은 치마 차림으로 1950년 1월을 기념했던 그들은 ‘3년 전쟁’을 어떻게 났을까. 넓은 칼라 가죽점퍼를 입은 총각, 단추를 꼭 채운 흰 블라우스의 아가씨, 방금 미용실을 다녀온 파마 아줌마, 리본 달린 세일러복의 아이…. 1960~70년대 달동네 사진관 카메라 앞에 앉아서 증명사진을 찍었던 사람들. 셋방에서 연탄을 갈던 ‘공돌이-공순이’들이 만든 ‘근대화’의 열매는 누가 차지했는가.
작가 안씨의 관심은 자연사로 확대된다. 귀뚜라미, 나비, 날개 떨어진 잠자리, 차에 치여 죽은 뱀. 아니면 찌그러진 깡통, 한쪽만 남은 플라스틱 슬리퍼. 진짜 박물관은 공룡, 돌칼 따위가 아니라 이런 것으로 채워야 하지 않는가.
|
‘안창홍:시대의 초상’전에 나온 안씨의 근작들. <기념사진> 시리즈.
|
|
‘안창홍:시대의 초상’전에 나온 안씨의 근작들. <기념사진> 시리즈.
|
서울로 올라와 도시의 썩고 문드러진 모습을 똑똑히 보고 양평으로 숨어들었다. 그게 벌써 20년이다. 쉰여섯 나이에 스물다섯 차례 개인전. 모두 초대전이다. 팔기 위한 전시는 하지 않는다. 작가는 “배고프지 않냐고? 적게 먹으면 되지 무슨 걱정인가”라고 했다. 부산시립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안씨의 작품전 ‘안창홍: 시대의 초상’은 2000년대 이후의 대표작과 근작 140점을 모아 보여준다. 베드카우치, 가족사진, 자연사박물관, 헤어스타일 컬렉션, 사이보그, 얼굴 연작과 49인의 명상 그리고 자화상 등이 2층 대전시실을 꽉 채웠다. 5월5일이 지나면 다시 차곡차곡 창고로 들어간다. 임종업 선임기자 blitz@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