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간담회에서 자신의 작품을 설명하고 있는 줄리언 오피.
|
한국서 첫 개인전 여는 줄리언 오피
“나의 그림은 사실주의다.” 한국에서 첫 공식 개인전을 열기 위해 방한한 영국 출신 팝아트 작가 줄리언 오피(51)의 말은 예상 밖이었다. ‘픽토그램’처럼 동그라미와 선만으로 인체를 그리고 경쾌한 색을 입힌 그림으로 유명한 그가 자신을 팝아트 작가라고 표현한 국내 신문 기사를 두고 던진 말이다. 접근 가능한 기존 언어로 작업LCD 이용한 움직이는 그림 등
“내 작품, 팝아트 아닌 사실주의” “1950~60년대 영국에서 출발한 ‘팝아트’는 당시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당대의 광고를 비교하면서 고급-저급 문화 논쟁이 일어난 가운데 붙여진 이름이다. 팝아트 아닌 것을 보기 어려운 지금에도 옛날 기준으로 팝아트라고 부르는 것은 적절치 않다.” 그는 얼굴 옆모습을 특징적으로 잡아내 그린 작품 <잭>을 가리키며 “그림은 팝적이지만 액자는 뮤지엄에 걸린 것과 같지 않으냐”며 “이제 이분법은 공존한다”고 말했다. 그래도 그렇지, 그의 그림이 사실적이라니…. 그의 말을 더 들어보자. “우리는 이미지로써 대상을 기억한다. 무엇을 보고 어떤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그때그때의 느낌을 기억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사람은 미세한 디테일이 아니라 그가 걸친 모자, 안경, 유니폼 등 상징으로 기억한다. 나의 그림은 그런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영국 로열 발레단의 현대 발레리나인 카테리나의 다양한 동작에다 드레스, 청바지, 데님스커트, 검은 바지 등을 입힌 작품들을 둘러보면, 작가의 시선을 통해 잘게 분석된 한 인물을 소개받는 느낌이다. “나는 없는 것을 창조하기보다 접근 가능한 기존의 언어로 작업한다. 동그라미로 얼굴을 표현하고 개별적인 동작·패션을 사인처럼 조합한 것은 그런 결과다. 나의 그림은 보편성과 개별성이 혼합된 중간 형태다.”
|
왼쪽부터 그의 작품 <세퀸 드레스를 입고 춤추는 앤> <잭, 프린터> <데님스커트를 입고 춤추는 카테리나> <레이스 블라우스 차림의 클레어>.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