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먀오샤오춘 디지털미디어전
|
먀오샤오춘 디지털미디어전
“복권처럼 주어진 삶. 아담은 로봇, 이브는 팔 없는 비너스. 만일 모가지 길이가 다양했다면 어땠을까. 슈퍼마켓에서 벌어지는 사냥과 채집. 길의 주인은 기름과 엔진으로 달리는 철마로 바뀌었다. 인간은 장기판 졸과 같고 무기와 전쟁은 자꾸만 업그레이드되고. 키보드 위에서 벌어지는 죽음의 춤. ‘엔터’ 키 툭 치면 수만년 문명은 몇 초만에 끝날 것을.” 중국 작가 먀오샤오춘의 <마이크로코즘>은 몇 번 보아도 새롭다. 15분짜리 애니메이션에 불과하지만 그 안에 인류 문명과 역사, 작가의 역사관이 담겼다. 작품은 컴퓨터 3차원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가상세계. 전지전능 시점의 작가는 우물 안 개구리식으로 세계의 전체를 보지 못하는 인류를 마냥 조롱한다. 부르델, 다빈치, 고야, 백남준 등의 작품도 부속품일 뿐이다. 작품의 뼈대는 네덜란드 화가 히에로니무스 보슈(1450~1516)의 3부작 제단화 <쾌락의 정원>이다. 천국과 지상, 지옥이라는 상하 구조를 9개 관점으로 본 병풍으로 만들고, 다시 동영상과 소리를 넣은 비디오로 만들었다. 구조는 차용하되 내용은 전혀 다르다. 가장 큰 차이는 다양한 등장 인물들을 작가 자신의 몸을 스캔한 아바타로 치환한 것. 중세 때는 예수 등 성경의 인물을, 문화혁명 때는 노동자-농민-병사를 등장시켰듯, 우리시대는 가장 개인적인 인물이어야 한다는 것. 작가는 미켈란젤로가 근육질 남녀를 아바타 삼은 예를 따랐다고 말한다.
|
먀오샤오춘 디지털미디어전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