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쁜 아이’ 나가신다, 길을 비켜라
|
6집 ‘불편한 파티’ 낸 크라잉 넛
서열문화 등 시대상 디스코·록에 담아
14년을 한결같이…“이번엔 직접 녹음”
1996년 5월, 서울 명동과 홍대 앞 주차장 거리에선 ‘스트리트 펑크 쇼’란 이름의 거리 공연이 열렸다. 1995년 처음 활동을 시작해 조그만 클럽에서만 공연해 왔던 크라잉 넛이 본격적으로 대중들 앞에 모습을 드러낸 순간이었다. 크라잉 넛이란 이름은 그 뒤 많은 이들의 입에 오르내렸고, 그날 이들이 무대에서 불렀던 ‘말달리자’는 인디 음악을 상징하는 송가가 되었다. 그리고 데뷔 14년이 지난 지금 이들은 한국을 대표하는 ‘로큰롤 스타’가 되었다.
공식 활동을 시작한 지 14년. 하지만 이들은 변한 게 없다. 장난기 가득한 악동 같은 모습도, 모든 걸 불태울 듯한 무대 위에서의 열정도 그대로다. 최근 발표한 6집 <불편한 파티> 역시 ‘크라잉 넛스러운’ 음악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크라잉 넛의 음악이란 게 한 앨범 안에 여러 장르가 녹아들어가 있는 거라고 생각해요. 이번 앨범에도 폴카부터 아이리시 음악, 디스코, 스윙, 아트 록, 트로트 등 다양한 스타일이 들어가 있어서 우리 음악을 좋아해주셨던 분들은 친숙하게 들으실 수 있을 거예요.”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의 책 <불편한 진실>에서 제목을 따온 <불편한 파티>는 지금 시대를 반영하고 있다. “불편한 현실을 알면서도 파티를 벌이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빗대서 지은 거예요. 비판이라기보다는 이게 어쩔 수 없는 지금 세상의 모습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어요. 언젠가는 모두 함께 신나는 파티를 벌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바람도 담고 있고요.” 앨범의 첫 타이틀곡 ‘착한 아이’ 역시 같은 맥락에서 만들어진 노래다. ‘착한 아이가 학교와 집에서 가르치는 대로만 착실하게 공부하고 엘리트 코스만을 밟아나간다고 착한 어른이 될까’라는 생각에서 만들어진 이 노래는 한국 사회의 학연·지연에 의한 서열문화를 꼬집고 있다. 이들은 노래 마지막에 “나쁜 아이 나가신다, 우리들은 크라잉 넛”이라고 노래하며 “지금 세상의 기준에 의하면 우리들은 나쁜 아이들”이라고 얘기한다.
|
6집 ‘불편한 파티’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