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개막하는 창작발레 <왕자 호동> 공연을 앞두고 21년 전 초연 당시 남녀 주역이던 문병남, 최태지(왼쪽 끝과 오른쪽 끝)씨가 이번 공연의 남녀 주역 이영철, 박세은 짝(문씨와 최씨 사이)의 춤 동작을 잡아주고 있다. 서울 예술의전당 국립발레단 연습실에서.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
“21년 전 공연영상서 정열을 봤어요”
“갈비뼈 부러지며 자명고 찢었는걸”
1988년 8월21일 밤 서울 남산 국립극장 대극장은 국내외 관객들의 함성과 갈채로 뜨거웠다. 무대 위에서는 고구려 호동 왕자와 낙랑 공주의 슬픈 사랑이 남녀 무용수의 아름다운 파드되(2인무)로 펼쳐졌다.
서울올림픽 문화예술축전 공식행사인 서울국제무용제의 개막 첫 작품으로 국립발레단의 창작발레 <왕자 호동>이 무대에 올랐다. 그 주인공은 당시 29살의 프리마돈나 최태지와 27살의 수석 발레리노 문병남. 사랑에 빠진 낙랑 공주가 호동 왕자의 밀지를 받고 자명고를 찢는 2막이 되자 최태지의 입에서 가는 신음 소리가 흘러나왔다. 그가 단금을 뽑아들자 부러진 오른쪽 갈비뼈에서 극심한 통증이 머리끝을 타고 왔던 것. 두 무용수의 소곤거리는 대화가 급박하게 오갔다.
“태지씨! 아프겠지만 조금만 힘내. 이제 마지막이야” “걱정 마, 할 수 있을 것 같아.”
낙랑 공주가 아버지 최리왕의 손에 죽임을 당하고 호동 왕자도 낙랑의 품에 자결하면서 막이 내렸다. 분장실로 돌아온 두 사람의 몸은 온통 땀에 젖어있었다. 안무가 임성남 국립발레단 초대 예술감독이 분장실로 찾아와 “고생했어”라며 두 사람의 어깨를 툭 쳤을 때 최태지의 눈에는 물기가 번졌다.
“공연하기 2주일 전에 연습하면서 넘어져 오른쪽 갈비뼈 2대가 부러졌어요. 단순히 타박상인 줄 알았는데 점점 통증이 심해지더니 공연 당일 아침에는 옷을 못 입을 정도로 아팠어요. 공연이 끝나고 병원에서 엑스레이를 찍고 나서야 갈비뼈가 부러진 것을 알았어요.”
예술감독·안무 맡은 최태지·문병남신예 박세은·이영철 짝과 함께 ‘호흡’ 현재 국립발레단 예술감독인 최태지(50)씨는 “자명고를 찢을 수가 없을 만큼 아팠지만 문 선생이 ‘할 수 있다’고 격려해줘서 공연을 마칠 수 있었다”고 그때를 떠올렸다. 발레단 부예술감독인 문병남(48)씨도 “최 단장이 워낙 의지가 강해서 4회나 공연을 할 수 있었다”면서 “낙랑이 죽고 나서 호동이 안고 내려올 때 되도록 아픈 부위를 건드리지 않으려고 진땀을 뺐다”고 말했다. 그 뒤로도 두 사람은 보리스 에이프만의 <레퀴엠>을 비롯해 <피가로의 결혼>, <백조의 호수>, <고려 애가>, <돈키호테>, <호두까기 인형> 등 국립발레단의 주요 레퍼토리에서 10여년간 단짝으로 발레무대를 누볐다.
21년 세월이 흘러 두 사람은 오는 18~22일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 대극장 무대에 올리는 <왕자 호동>에서 안무가와 예술감독으로 다시 호흡을 맞춘다. 특히 문병남씨는 고 임성남(1929~2002)에 이어 안무를 맡아 2막 12장의 드라마 발레로 꾸민다. 새로 부활한 <왕자 호동>의 주인공인 호동과 낙랑 역으로는 국립발레단을 대표하는 스타커플인 김주원-김현웅, 김지영-이동훈, 박세은-이영철 짝이 세 가지 빛깔의 사랑이야기를 보여준다. 무엇보다 국내 최고의 발레리나 김주원(31), 김지영(31)씨와 나란히 프리마돈나로 캐스팅된 신예 박세은(20)씨와 그의 짝인 이영철(31)씨의 연기가 관심을 모은다.
|
국립발레단 ‘왕자 호동’에서 뭉친 새 주역-옛 주역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