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팻 메시니
|
세계 순회 ‘오케스트리온’
“한밤중 문을 닫은 악기 상점에서 모든 악기들이 깨어나 스스로 연주하는 애니메이션 영화 장면을 보는 것 같다.”
영국 일간지 <타임스>는 재즈 기타리스트 팻 메시니가 지난 2월 영국 런던에서 벌인 공연을 두고 이렇게 평했다. 팻 메시니는 지난 1월 발표한 새 음반 <오케스트리온>을 연주하는 세계 순회 공연을 하고 있다. 다음달 2~5일에는 서울 엘지아트센터에서 내한공연을 펼친다.
사람 없는 어쿠스틱 사운드“놀라운 실험” “핫도그 음악”
6월 내한…평가는 관객 몫 ‘오케스트리온’은 사람 손길 없이 기계 움직임으로만 연주되는 악기를 일컫는다. 1800년대에 발명된 자동 피아노가 시초다. 팻 메시니는 어린 시절 할아버지 집에서 자동 피아노를 보고 대번에 반했다고 한다. 컴퓨터와 신시사이저로 수많은 악기 소리를 재현할 수 있게 된 21세기에도 그는 여전히 사람 없이 울려퍼지는 어쿠스틱 사운드를 갈망했다. 그리고 마침내 오랜 꿈을 이뤘다. 이를 위해 사용한 기술은 ‘솔레노이드’ 장치. 전류로 발생하는 자기장을 물리적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이 장치는 버스 자동문 등에도 응용돼 쓰인다. 그는 21세기 최첨단 기술로 로봇이 기타·베이스·드럼·오르간·비브라폰·퍼커션은 물론 유리병으로 만든 휘슬까지 연주하는 진풍경을 연출해냈다. 그리고 그 한가운데서 기계들과 호흡을 맞추며 기타를 연주했다. 음반을 들어보면, 놀랍게도 기계의 느낌은 들지 않는다. 팻 메시니 그룹 멤버들이 연주한 사운드와 별반 다르지 않게 들린다. 팻 메시니는 기계와의 협연에 대해 “스윙이나 그루브처럼 인간의 연주에서 느낄 수 있는 부분을 재현하는 게 쉽지 않았지만, 사람이 연주하기 어려운 음들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도 있었다”며 “흔히 말하는 ‘인간의 느낌’이 대체 무엇이고 어떻게 정의돼야 하는지 깊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
재즈기타 거장 팻 메시니 ‘기계와의 협연’
|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사진 엘지아트센터 제공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