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1
|
워커 에번스 사진전
미국 뉴욕 월가의 주식 폭락에서 비롯한 1930년대 대공황 시대를 많은 후대 사람들은 생활고에 찌들린 당시 미국 민중들의 지친 표정들로 기억한다. 남루한 삶터를 배경으로 카메라 앵글에 잡힌 농부, 서민 군상들의 고단한 몸짓은 경제 위기 때마다 잔상으로 사람들의 기억 속에 떠오르곤 한다. ‘사진 거장’ 한국서 첫 회고전1930년대 공황 민중 삶 대변 아이러니하게도 그들의 생생한 삶을 찍은 이 다큐 사진들은 원래 관제 사진의 일종이었다. 당시 미 정부가 복지 예산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경제난과 기근에 신음하는 농민, 소작인들의 생활 실태를 사진으로 찍으라고 주문했던 것이다. 미국 사진가 워커 에번스(1903-1975)는 이런 ‘사진 정치’ 덕분에 사진사에 우뚝한 거장이 된다.(사진 3) 도러시아 랭, 벤 샨 등 동료 사진가들과 함께 1930년대 후반 미국 농촌과 산골 등을 돌며 27만장 넘게 사진을 찍은 이 정부 발주 프로젝트가 ‘사회적 다큐멘터리 사진’의 등장을 알리는 계기가 됐던 것이다.
|
사진 2
|
형식적·공간적 ‘비극미’ 눈길 에번스의 사진은 본질상 기록적 다큐 사진이지만, 형식 구성을 중시한다. 메시지 전달에 치중하는 일반 다큐멘터리 사진과 달리 서민들의 생활 공간들을 건축적으로 부각시키는 시선이 특이하다.
|
사진 3
|
|
사진 4
|
에번스의 예일대 교수 시절 동료였던 존 티 힐과 공동기획한 이 전시 출품작에는 에번스 작품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와 농업안정국 시절 작품, 쿠바·지하철 초상, 작가가 잡지 <포천>에 근무하던 당시 작품들이 망라되었다. 널리 알려진 대표작들과 함께 1930~40년 주요 작품들이 회고전 형식으로 나온다. 이미지 평론가 이영준 교수(계원디자인예술대)와 작가 강용석씨의 특별강연회가 26일이 열리며, 에번스의 사진 세계를 전문가들과 이야기하는 갤러리토크(7월10일, 8월14일)도 마련된다. (02)418-1315.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사진 한미사진미술관 제공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