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7.15 20:33 수정 : 2010.07.15 20:33

창단기념식에서 일부 단원 포상 거부
단원 전속 고용제 폐지하고 ‘계약제’로

국립극장 전속 단체였던 국립극단이 재단법인으로 독립해 15일 공식 출범했다. 국립극단은 지난달 18일 재단법인 등록을 마쳤고 이날 오후 서울 명동예술극장에서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구자홍 국립극단 이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창단기념식을 열었다. 그러나 일부 전 단원들이 정부의 포상을 거부하는 등 재단화의 진통이 계속되고 있다.

국립극단은 단원 전속 고용제를 폐지하고 ‘시즌별 단원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배우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라는 게 문화부와 국립극단 쪽 설명이다. 초대 단원은 이달부터 내년 2월까지 오디션과 훈련 과정을 거쳐 순차적으로 100여명을 뽑아 1~3년씩 계약을 맺는다. 이들은 매년 평가 결과에 따라 재계약이 결정되고 보수도 5등급으로 차등 지급된다. 단원은 40여명으로 유지할 계획이어서 기존 단원의 절반 이상이 계약에서 탈락될 예정이다.

극단 운영 최고책임자인 예술감독은 다음달 공모와 이사회 추천으로 3~5배수를 추천해 문화부 장관이 임명한다. 구 이사장은 “예술감독 공모는 내외국인을 망라하겠지만, 현실적으로 모시고 싶은 (외국인) 예술감독을 이 (짧은) 기간 안에 모시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창단 공연은 주공연장인 명동예술극장에서 내년 1~3월 한태숙 연출의 <오이디푸스> 등 두 작품을 상연할 예정이다. 아울러 신설 국립 아동·청소년극 연구소에 전문연구원 3~5명을 배치할 방침이다.

극단의 향후 재정자립 가능성에 대해 구 이사장은 “예술단체가 재정자립을 한다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앞으로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박순태 문화부 예술정책관은 “국립극단을 만든 취지는 공공성을 견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재정자립도는 신경 안 쓰도록 정부가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예산당국과도 긍정적으로 협의했다”고 설명했다.

또 국립극단은 다른 예술단체들과 함께 서울역 인근 용산구 서계동 옛 기무사 수송대 부지와 건물을 창작공간과 문화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문화부는 이곳을 ‘수송대 열린문화공간’으로 리모델링할 계획이다. 수송대 차고는 열린극장, 정비고는 창작공간, 막사는 문화부와 국립극단 사무실 및 예술가들의 레지던스 공간으로 활용된다.

이에 앞서 14일 문화부는 해체된 국립극단의 원로단원인 장민호(85), 백성희(84)씨에게 은관문화훈장을 수여하고, 30년 이상 근속한 배우 최상설, 김재건, 서희승, 문영수씨에게는 문화포장, 28년 이상 근속한 권복순, 김종구, 이혜경씨에게는 대통령 표창을 줬다. 국립극단이 해체되면서 떠난 나머지 단원 15명에게는 장관 표창이 수여됐다.

그러나 서상원, 이상직씨 등 4~5명은 수여식에 불참하고 표창 받기를 거부했다. 이에 대해 문화부 공연전통예술과 관계자는 “공식적으로 훈포장, 표창 받기를 거절한 경우는 전혀 없었다. 거절했다면 상신도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표창을 거절한 한 전 극단원은 “표창 수여 전날 문화부에서 연락을 받았지만 허락하고 말고 할 여지는 없었다”며 “국립극단 해체 과정에 문제가 있었고 또 ‘병 주고 약 주는’ 문화부에 동의할 수 없어 받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