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뮤지션 양방언
|
자전적 에세이 펴낸 재일동포 뮤지션 양방언
의사에서 음악인 되기까지갈등과 고민 솔직하게 담아 “혹시 노래도 잘하시나요?” “그랬다면 제가 노래 음반을 냈지 연주 음반만 냈겠어요?” 지난 28일 오후 서울 광화문 케이티(KT) 아트홀에 웃음소리가 넘쳤다. 재일동포 음악인 양방언(50)씨의 자전적 에세이 <프런티어, 상상력을 연주하다>(시공사 펴냄) 발간을 기념하는 북콘서트에서다. 저자 겸 연주자와 독자 겸 관객과의 유쾌한 대화, 아름다운 피아노 연주가 두시간 가까이 이어졌다. 양씨도 관객들도 하나같이 행복한 표정이었다. 앞서 지난 26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한겨레>와 만난 양씨의 손목에는 일본 록 페스티벌 ‘서머소닉’의 팔찌 티켓이 매달려 있었다. “다들 휴가를 즐기며 노는 8월이 제겐 가장 바쁜 시기입니다. 올해도 일본 방송국 가을 개편 이후 새로 시작하는 애니메이션 음악 작업 2개를 하고 있어요. 그래도 해마다 후지 록 페스티벌과 서머소닉은 빼놓지 않고 꼭 가요. 제겐 유일한 여름 휴가인 셈이죠.” 그는 참 바쁜 사람이다. 솔로 음반뿐 아니라 영화·방송·애니메이션·게임 음악까지 그의 음악적 촉수가 미치지 않는 곳이 별로 없다. 한국·일본뿐 아니라 아시아 전역이 그의 무대다. 그런 그가 시간을 쪼개 책을 낸 이유는 뭘까? “올해로 제 나이 쉰입니다. 음악을 한 지도 30년이 됐고요. 지금껏 앞만 보고 달려왔어요. 이제는 뒤를 한번 돌아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던 차에 책 출판 제의가 와서 흔쾌히 받아들였죠.”
그는 책에서 북한 국적으로 총련계 민족 학교를 다닌 어린 시절부터 한국 국적으로 바꾸고 세계적인 음악인이 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경험과 생각을 솔직담백하게 풀어놓았다. “전문 작가가 저와 인터뷰를 하고 대신 쓰면 어떻겠냐는 제의도 있었지만 제가 직접 쓰겠다고 했어요. 책도 음악처럼 엄연히 제 작품이잖아요. 훌륭하고 완벽한 문장은 아니지만 쉽고 편하게 말을 건네듯이 저라는 사람을 보여드리고 싶었어요.”
|
뮤지션 양방언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