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머리에서 본 황남대총 특별전 전시장 정면. 발굴 당시 남쪽 봉분에서 확인된 거대한 묘실 목곽 구조를 재현한 대형 나무 구조물과 그 내부에 패널 사진 등으로 복원한 주곽, 부장품곽의 모습 등이 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
국립중앙박물관 황남대총 특별전 가보니
국내 최대 쌍무덤 발굴 36년 결산재현 구조물 부실·학계논의 미반영
‘스토리텔링’ 빈약…단편적 나열 “저게 제일 큰 무덤인가… 한번 발굴해보지그래.” 1970년대 초 경주에 들렀던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황남동 들판에 솟은 거대한 쌍무덤(쌍분·아래 사진)을 보고 불쑥 지시를 던졌다. 그가 가리킨 무덤은 남북 길이 120m에 높이가 20m를 넘는 국내 최대 쌍무덤 ‘황남대총’이었다. 경주관광개발 계획을 구상중이던 그는 치세중에 금관 같은 기념비적 유물을 발굴하려는 야심에 차 있었다. ‘왕릉을 파헤치지 말라’는 시민들 반대 속에 발굴이 강행됐다. 1973~1975년 연인원 3만명 이상을 동원한 문화재관리국의 조사는 고대 신라의 역사를 다시 쓰게 만들었다. 관을 싼 덧널 위에 돌무더기를 쌓은 5세기께 무덤 속에서 순금제 금관과 서역제 로만글라스 병, 비단벌레 장식 마구, 금은제 그릇·장신구 등 5만점 이상의 유물들이 쏟아졌다. 고고학자들의 로망인 거대 유적의 스펙터클이 이 땅에도 출현한 것이다. 이 왕릉 급 무덤의 주인, 신라 황금 문화의 실체, 숱한 서역 유물들의 전래 경로 등을 놓고 숱한 수수께끼들이 생겨났다. 하지만 이상하리만큼 후속 연구는 더뎠고, 제대로 된 유물 전시도 열리지 않았다. 마침내 발굴 36년을 넘긴 올해 황남대총 발굴을 결산하는 특별전이 사실상 첫막을 올렸다. 국립중앙박물관 상설관에서 7일부터 시작한 특별전 ‘황금의 나라, 신라의 왕릉 황남대총’은 한국 고고학 최대의 발굴로 꼽히는 황남대총 출토 유물들을 집대성한 전시다. 5만8441점이나 되는 출토품 가운데 금관 등의 귀금속 장신구와 그릇들, 서아시아산 유리그릇 등 신라 황금문화의 진수를 보여주는 유물 1286점이 한자리에 모여 공개됐다.
|
황남동 들판에 솟은 거대한 쌍무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