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덴마크관은 나선형 구조 건물을 자전거를 타고 관람할 수 있게 동선을 디자인했다. 덴마크의 상징인 인어상을 상하이로 옮긴 기발한 아이디어로 세계적 화제가 됐다.
|
상하이엑스포서 주목받은 건축디자인
세계 최대의 국가 잔치인 상하이엑스포(10월31일까지)가 이제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많게는 수천억원의 돈을 투입해 짓는 나라별 엑스포 전시관들은 각 나라 최고의 디자이너와 건축가들이 총출동하는 디자인 트렌드의 최전선 현장이자, 각국의 문화적 역량을 보여주는 경쟁 무대다. 전세계 건축 디자인계의 관심을 끌어모은 이번 엑스포 전시장에서 가장 호평받은 국가관은 영국관과 덴마크관이 꼽힌다. 이들 두 나라 전시관은 어떤 이슈들을 담아냈는지, 그리고 어떤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는지 전문가의 분석을 들어본다. 편집자주
영국관아크릴섬모 6만개에 씨앗 넣어인간과 자연의 공존에 대해 성찰 덴마크관
인어상 중심에 둔 나선형 구조 자전거 타고 관람 ‘색다른 전시’ 올림픽, 월드컵, 그리고 엑스포. 세계 3대 이벤트다. 5년에 한번 열리는 엑스포는 인류가 진보의 역사에서 어디쯤 서 있는지, 우리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응축된 시공간이다. 국가 단위로 참가하는 엑스포는 그야말로 각 국가의 총체적인 ‘수준’을 보여주는 종합경기와 같아서, 눈에 보이지 않는 각축이 운동경기 못지않게 마련이다. 개인적으로 건축의 수준은 정확히 문화의 수준을 반영한다고 믿는다. 엑스포에 참가하는 국가들이 저마다 최고의 국가관을 짓기 위하여 노력하지만, 그 성취의 수준이 저마다 다를 수밖에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더 나은 도시, 더 나은 삶’(Better City, Better Life)이라는 이번 상하이 엑스포의 주제는 평범한 듯 인상적이다. 자연과 도시, 인류의 미래, 환경, 에너지, 지속 가능한 발전, 기술의 기여와 같은 열쇳말들이 여의도 면적의 3분의 2에 이르는 드넓은 박람회장에 펼쳐져 있었다.
|
6만개의 아크릴 섬모로 표면 전체를 뒤덮은 파격적인 디자인의 영국관.
|
국가 정체성과 함께 출발한 주제의식이 엑스포 전체 주제에 기여하면서 미학적 성취를 거두며 공감을 불러일으킨다면 ‘선진국형’이라고 할 수 있다. 주제가 강력한 메시지로 치환되고, 이를 전달하는 효과적인 디자인 콘셉트가 도출되고, 여기에 모든 것을 집중해 이뤄낸 공간 조형의 미학적 성취는 감동적이다. 자신 있는 자만이 할 수 있는 대범함이다. ‘민들레 홀씨’라는 애칭을 얻은 영국관이 그랬다. ‘씨앗의 성전’(Seed Cathedral)이라 이름 붙인 중심 건물이 접어 만든 대지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다. 이 성전은 6만개의 아크릴 섬모로 이루어져 있는데, 광섬유 필라멘트가 장착된 아크릴 관의 끝에는 다양한 씨앗 종자들이 ‘진짜로’ 들어 있다. 바람이 불면 7.5
|
아크릴 섬모를 타고 들어오는 외부의 빛이 내부를 밝혀주도록 꾸몄고, 섬모 맨 끝에는 영국이 보유하고 있는 종자를 종류별로 일일이 집어넣었다.
|
■ 육아의 가장 큰 적…‘큰아들’ 내 남편
■ ‘봉인 해제’된 천안함의 진실…충격파 100G
■ 올 하반기 입사면접 질문 1순위는?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