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예술의 전당서 특별전
|
서울 예술의 전당서 특별전
루이 14세부터 루이 16세까지왕실 장식공예품·회화 등 전시
감각적인 패션과 궁정 초상화
마리 앙투아네트 컬렉션 ‘눈길’ 1660년 프랑스 절대 군주 루이 14세는 파리 남서쪽 숲에 있던 별장 부근에 궁전을 지으라고 명령한다. 모래와 늪 가득했던 척박한 사냥터는 100년 가까운 공사 끝에 유럽 최고의 궁전이 된다. 1789년 대혁명으로 왕실은 사라졌지만 21세기인 지금도 이 궁전의 카리스마는 강력하다. ‘베르사유’란 이름은 세계 곳곳에서 고급 문화 예술의 아이콘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이 궁전의 이름 아래 근대 패션과 모드의 역사가 태동해 퍼져나간 까닭이다.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최근 개막한 특별전 ‘베르사이유의 영광’은 17~18세기 유럽 문화예술의 표준이었던 베르사유궁의 화려했던 왕실 문화를 소개하는 전시다. 로코코 양식으로 유명한 베르사유의 궁정 그림과 조각, 장식 공예품, ‘아라모드’(최신 유행)란 말을 만들어낸 우아한 복식과 장식 패션 등을 국립베르사유궁 박물관 소장 유물 84점 등에서 두루 살필 수 있다. 베르사유 문화가 꽃핀 시대는 태양왕 루이 14세부터 프랑스 대혁명으로 몰락한 루이 16세의 치세까지 200여년간이다. 전시장은 이 세 군주의 영역으로 나눠 방마다 각기 미묘한 패션 취향의 변화를 보여준다. <패션의 역사>를 집필한 문화사가 막스 폰 뵌은 “(17세기 이후) 프랑스 유행이 이전 유행과 본질적으로 다른 점은 자주 변화한다는 것”이라고 짚은 바 있다. 그 통찰대로 엄숙 장려한 루이 14세 시대의 문화 취향은 루이 15세 이후 점차 분방해지고 쾌락적으로 흘러, 루이 16세 시기 극단적으로 감각적인 취향의 로코코 양식으로 발전해간다.
|
18세기 궁정화가 르브룅이 그린 ‘로브 아 파니에’를 입은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의 초상화.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