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인극은 배우가 관객의 시선으로부터 결코 벗어나지 못한다. 무대에서 처절할 정도로 혼신을 다해야 할 때 배우의 존재감과 힘이 생겨난다.
연극 <어느 배우의 슬픈 멜로드라마 맥베스>
|
대학로에 부는 1인극 바람
모든 배우의 꿈, 1인극이 요즘 대학로 연극판에서 잇따라 무대에 오르며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연극 <염쟁이 유씨>(오픈런 이랑씨어터)와 <어느 배우의 슬픈 멜로드라마 맥베스>(31일까지 동숭무대소극장), <기타맨>(28일~2011년 1월16일 정보소극장), <아큐-어느 독재자의 고백>(2011년 1월4일까지 소리아트홀) 등 모노드라마(1인극)가 연말연시 연극판에서 눈길을 끈다. 존재감 각인·진가 보여줄 기회배우의 역량 확인하는 가늠자
‘염쟁이 유씨’·‘기타맨’ 등 눈길 고 추송웅씨는 <빨간 피터의 고백>으로 오랜 무명배우에서 스타로 거듭났고, 양희경씨는 <늙은 창녀의 노래>로, 서주희씨와 장영남씨는 <버자이너 모놀로그>로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하지만 일인극에 도전했다 내상을 입고 좌절한 배우들도 수두룩했다. 모노드라마에선 배우는 절대 관객들을 회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자기 몸 하나로 모든 것과 맞상대해야하는 1인극 무대는 배우들에게 진정한 힘을 만들어주는 자리다. 동시에 준비가 안 된 배우들에겐 가장 큰 한계를 경험하게 되는 갈림길이기도 하다. 모노드라마 출연 배우는 일반 작품에 비해 작품 준비와 연습시간이 배가 된다고 말하는 것도 모노드라마의 무게감 때문이다. 관객으로선 어떤 연극 작품보다 배우의 모든 것을 실감할 수 있는 장르이기도 하다.
|
<기타맨>(왼쪽) <아큐-어느 독재자의 고백>(오른쪽)
|
|
<염쟁이 유씨>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