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병열씨, 최희선씨
|
‘윤도현밴드’ 전 기타 유병열
‘조용필밴드’ 기타 최희선
게리무어 헌정곡 공동작업
록 음악은 사내들을 뭉치게도 하고 헤어지게도 한다. 그리고 또 만나게 한다. 기타리스트 유병열(사진 왼쪽). 그 이름을 기억하는 이는 많지 않지만, 그는 초창기 윤도현밴드(와이비)의 큰 축이었다. 거칢과 섬세함을 두루 갖춘 그의 기타는 윤도현밴드의 정체성이 됐고, ‘먼 훗날’ 등 굵직한 히트곡들이 그의 손에서 나왔다. 하지만 그는 윤도현밴드 4집을 마지막으로 2000년 밴드에서 나왔다. 음악적 견해차로 잦아진 충돌이 끝내 곪아 터진 것이다.
“헤어지고 3년 정도 서로 얼굴도 안 봤어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돌아보니 내가 잘못했던 게 눈에 들어오더라고요. 어느덧 마음이 풀리고, 나중엔 이런 문자까지 보내게 됐어요. ‘이제는 윤도현밴드의 팬으로서 너희들을 응원한다’고요.”
자신의 밴드 ‘비갠후’를 결성하고 활동해오던 유병열은 지난해 말 첫 기타 솔로 미니앨범(EP)을 냈다. “인간의 온갖 감정을 모두 소리로 낼 수 있다는 게 기타의 최대 매력”이라는 그의 오랜 계획이었다. 휘성이 보컬로 참여한 타이틀곡 ‘러브 텐션’을 뺀 나머지는 연주곡으로 채웠다. 정규앨범이 아닌 미니앨범으로 만든 건 열악한 국내 연주음반 시장을 고려한 결정이었다.
그의 창작욕은 마르지 않는 샘물이었다. 첫 솔로 앨범이 나온 지 불과 석 달 만에 두번째 솔로 앨범을 발표했다. 제목은 <유병열의 스토리 오브 윤도현>. 타이틀곡 ‘가슴이다’의 보컬을 윤도현이 맡았다. “언제 한번 같이 작업하자”고 서로 지나가듯 한 약속을 이번에 지키게 된 것이다. ‘먼 훗날’ 이후 무려 13년 만에 윤도현의 애절한 목소리가 안성맞춤인 록 발라드가 다시 나왔다. “이번에 작업하면서 저한테 도현이만큼 잘 맞는 보컬이 또 없다는 걸 느꼈어요.”
이번에는 윤도현이 부탁했다. “나도 형 도와줬으니 형도 나 한번 도와줘.” 윤도현이 문화방송 <나는 가수다> 무대에서 백지영의 ‘대시’를 부를 때 유병열이 기타를 잡았다. 윤도현은 방송에서 “오랜만에 병열이 형이 함께 해줘서 너무 든든했다”고 했다. 유병열은 말했다. “저에게 윤도현밴드는 큰집 같은 존재예요. 아마도 우린 평생 동반자처럼 지낼 것 같아요.”
유병열이 이번 앨범에서 공동작업을 한 곡이 또 하나 있다. 지난 2월 세상을 떠난 기타리스트 게리 무어에게 바치는 헌정곡 ‘리멤버’다. “좋아하는 형님들과 같이 하고 싶다”는 생각에 ‘조용필과 위대한 탄생’의 기타리스트 최희선(오른쪽), 부활의 김태원에게 참여를 부탁했다. 곡 후반부에서 기타 석대가 한데 뒤엉키며 주조해내는 사운드가 압권이다. 여기에 윤도현의 코러스가 악기처럼 뒤섞였다.
|
우리의 기타는 윤도현·조용필·게리무어와 1촌 관계랍니다
|
글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사진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