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향·‘부산 소년 집’ 참여
말러 등 여러 악단 비교 감상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
벤게로프 등 스타급도 공연
덕수궁선 무료 고궁음악회 햇살이 따스해졌다. 가족 봄나들이를 계획하고 있다면, 이맘때 음악 축제 일정들을 먼저 확인해보자. 음악 축제 나들이는 가족간의 정서적 유대감을 높여주고 특별한 추억 거리를 만들어준다. 국내 대표적인 봄 음악 축제로는 교향악축제(1~24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와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4월30일~5월13일 세종체임버홀·덕수궁 등)를 꼽는다. ■ 클래식 초보 가족이라면 해마다 전국 20여개 교향악단이 모이는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를 가보자. 올해 특별 오케스트라 두 곳과 대학 오케스트라 두 곳을 추가로 초청했다. 초심자들에겐 이 악단들이 더 편안하게 다가올 법하다. 4일 연주하는 부산 소년의 집 알로이시오오케스트라(위 사진·지휘 정민)는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테마처럼 소외계층 청소년을 위한 음악 교육 프로그램에서 출발했다. 정민은 12일 출연하는 정명훈 서울시향 상임지휘자의 셋째 아들. 오래전부터 아버지와 함께 이 오케스트라를 지휘해왔다. 두 사람은 교향악축제 사상 최초의 ‘부자(父子) 지휘자’로 출연한다. 폐막 연주를 맡은 운파메모리얼오케스트라는 국내 교향악계의 거목 임원식의 타계 10주기를 추모하기 위해 꾸린 악단이다. 임원식은 1945년 국내 최초로 창단된 고려교향악단의 초대 상임지휘자였고, 56년 케이비에스(KBS)교향악단을 창단한 선각자다. 알로이시오오케스트라는 말러의 <교향곡 1번>과 차이콥스키의 <바이올린 협주곡 라장조>를, 운파메모리얼오케스트라는 포레의 <레퀴엠>과 브루크너의 <교향곡 4번>을 들려준다.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가 처음 선보이는 무대 음악극 <블록 15>(5월3일·서울 용산아트홀 소극장)도 추천할 만하다. 2차대전 당시 유대인 수용소에서 살아남은 두 음악가의 실화를 바탕으로 음악이 인간 생존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말하는 작품이다. 피아니스트 파스칼 아모옐과 첼리스트 에마뉘엘 베르트랑이 연기와 연주를 모두 선보인다. 5월6일 저녁 덕수궁 중화전의 무료 공연 <고궁음악회>도 선율 속에서 고궁의 정취와 낭만에 빠져볼 기회다.
|
정민(왼쪽), 막심 벤게로프.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