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가 짐스카(미국)의 <움직임 속의 고요함-엄마 연작 2>. 자궁을 상징한다.
|
미술 비엔날레 ‘프로젝트 대전’
올해 첫 전시 주제는 에네르기
13개나라 64개팀 작가들 참가
“최악의 과학자는 예술가가 아닌 과학자이며, 최악의 예술가는 과학자가 아닌 예술가이다.”
물리학자 아르망 트루소의 말처럼, 좋은 예술을 위해선 과학적 사고가 필요하고, 뛰어난 과학자는 예술적 영감을 갖춰야 한다. 예술과 과학은 실은 무척 닮았다. 새로운 생각으로 새로운 이치를 밝혀나가는 작업이란 점에서 예술과 과학은 서로의 장점을 필요로 한다. 미술은 늘 과학적 발견을 흡수해서 새로운 경향을 만들었고 외연을 넓혔다. 둘은 친숙한 짝패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술과 과학과 관계를 탐구하는 새로운 미술행사가 마련됐다. 대전시가 마련한 미술 비엔날레, ‘프로젝트 대전’이다. 과학도시를 표방하는 대전의 특성을 내세워 대전시립미술관이 올해 1회를 여는 ‘프로젝트 대전’의 첫번째 주제는 ‘에네르기’. 미술관 쪽은 서구의 ‘에너지’와 동양권의 ‘기’(氣)를 합친 말로 에너지와 기가 예술에서도 중요한 의제임을 보여주고자 했다고 밝혔다. 19일 개막해 대전시립미술관 전관을 비롯해 엑스포 공원과 한밭수목원, 갑천, 대전의 구도심인 중구와 동구 일대에서 야외예술과 커뮤니티 아트 프로젝트 등을 포함해 다양한 작품을 펼쳐 보인다. 강희준, 김순임, 박영균, 성동훈, 신학철, 양아치, 장지아, 최영옥, 천경우, 허강, 로랑 그라소(프랑스), 아이웨이웨이(중국), 오다니 모토히코(일본) 등 13개국 64팀 작가가 참여한다.
|
미카미 세이코와 이치카와 소타(일본)의 <그라비셀스>. 관람객이 들어가면 중력을 감지해 중력의 저항을 시청각화한다.
대전시립미술관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