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극장 창작뮤지컬 <빨래>
|
비정규직·이주노동자 다룬 원작
현지화 각색 없이도 일 진출 성공
“실의 빠진 일본인에 위로됐을 것”
8년째 흥행…12월 2000회 공연
소극장 창작뮤지컬 <빨래>(추민주 작·연출)가 공연되는 서울 대학로 동숭동 학전그린 소극장 무대 양쪽 옆에는 일본어 자막이 나오는 모니터가 설치돼 있다. 등장인물들의 대사와 노랫말이 일본어로 번역돼 화면에 뜬다. <빨래>가 올해 일본 무대에 진출한 뒤, 직접 대학로를 찾는 일본인 관객이 점점 늘어나는 데 따른 것이다.
2005년 초연 뒤 지금까지 국내에서 32만명의 관객을 모은 인기 뮤지컬 <빨래>는 지난 2월과 5월, 8월에 일본 오사카와 도쿄 등에서 4차례의 공연을 열었다. 공연마다 400여석이 꽉 찰 정도로 반응이 좋았다. 유명한 스타 배우나 화려한 물량 공세 없이 이야기 그 자체의 진정성으로 승부하는 소극장 창작뮤지컬이 국경을 넘어 일본 관객에게도 통한 것이다.
■ ‘현지화’ 안 하고도 국경 넘은 <빨래>의 힘 <빨래>는 일본 공연 당시 현지 사정에 맞춰 각색을 하지 않았다. <빨래>는 강원도에서 상경한 주인공 ‘나영’이 서울의 한 달동네에 이사온 뒤 몽골 출신 이주노동자 ‘솔롱고’와 가까워지고 이웃들과 부대끼는 내용이다. 서점 직원인 나영을 통해 서울살이의 고단함과 비정규직 부당해고 등의 문제를 드러내고, 솔롱고를 통해 이주노동자에 대한 차별과 부당노동 등 한국 사회의 그늘을 다룬다. 일본 공연에서도 똑같이 서울을 배경으로 삼아, 일본 배우들이 주인공 나영이와 ‘솔롱고’가 되어 원작 그대로 공연했는데, 일본 관객의 호응이 대단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빨래> 제작사인 명랑시어터 수박의 최세연 대표는 “(<빨래>가 그려낸) 사회 구성원들의 어려운 삶은 한국만의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 보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라며 “일본도 우리나라만큼 취업난과 비정규직 문제가 심각하고 이주노동자 문제도 오래된 사회 이슈라 <빨래>를 보면서 일본인 자신의 삶과 닿아 있는 부분을 찾은 것 같다”고 말했다.
일본 공연 역시 직접 연출한 추민주 연출가는 “한국 사람들이 정을 표현하는 방식을 이해시키려고 일본 배우들과 함께 빨래를 하기도 했다”며 일본 공연 준비 과정을 설명했다.
|
소극장 창작뮤지컬 <빨래>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