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원영
|
6집 ‘걸음걸이 주의보’ 발표
기교 없이 담백한 피아노 연주곡에노랫말 쓰고 직접 부른 밴드곡 담아
“장르요? 그냥 하고 싶은 음악할 뿐
일흔살 넘으면 재즈 트리오 하고파” 음반가게 주인이라면, 정원영 6집 <걸음걸이 주의보>를 어느 진열장에 놓을지 고민깨나 할 것 같다. 재즈·록·팝·뉴에이지 등 여러 음악 요소를 재료 삼아 완성한 음반은 장르 구분을 어렵게 만든다. 다만 명확한 건, 그 많은 요소들로부터 뽑아낸 결과물이 여백 많은 수묵화처럼 담백하고 파스텔톤 수채화처럼 투명하다는 점이다. “장르를 생각하지 않아요. 그냥 하고 싶은 걸 할 뿐이죠.” 지난 21일 저녁 서울 성내동의 한 음식점에서 만난 정원영(52)은 대수롭지 않다는 듯 말했다. 앨범에선 ‘빈방’, ‘새벽을 걷다’, ‘후회’ 등 피아노 연주곡이 주를 이룬다. 이들 곡에는 화려한 기교가 없다. 대신 느리고 묵직한 건반 누름이 듣는 이의 외로움의 심연에 가 닿는 듯하다. “사람은 누구나 혼자잖아요. 근원적인 외로움을 표현하고 싶었어요.” 노랫말을 쓰고 직접 부른 3곡도 있다. 그 중 ‘선인장과 치즈’와 ‘행복해졌어’는 특별히 밴드 음악으로 만들었다. “비틀스처럼 비어 있으면서도 깊이감 있는 사운드를 내고 싶어” 신윤철·송홍섭·김책이 참여한 밴드 ‘카도’에게 도움을 청했다. “중3 때 친구와 만든 밴드로 처음 음악을 시작했어요. 본격적으로 음악을 한 것도 ‘석기시대’, ‘사랑과 평화’, ‘위대한 탄생’ 같은 밴드에서였죠. 이후 미국 버클리음대에서 재즈를 공부했지만, 여전히 ‘음악=밴드’라는 인식이 남아 있어요.” 두 곡은 이전과 달리 노랫말을 먼저 쓴 뒤 선율을 붙였다는 공통점도 지닌다. “재작년부터 글쓰기에 재미 붙여 습작 소설을 쓰고 있어요. 문신 한 여자들을 만나는 남자 얘기죠. 그 영향으로 소설처럼 상상하며 노랫말을 먼저 써봤어요. 그랬더니 노랫말을 잘 전하기 위해 선율을 쉽고 단순하게 만들게 되더라고요. 왜 이걸 음악 한 지 30년 넘은 이제야 알게 됐는지….” 타이틀곡 ‘행복해졌어’는 “장기하 곡처럼 써보려고 한 노래”다. 처음에는 ‘기하학적 사고’라는 제목을 붙였는데, 작업실에 놀러온 장기하가 악보를 보고는 “제목이 이게 뭐냐”며 웃었다는 일화도 전했다. “누가 이 곡을 사전설명 없이 듣더니 ‘장기하가 부르면 어울리겠네’ 하더라고요. 속으로 ‘성공이구나’ 하며 웃었죠.”
|
정원영 6집 앨범 ‘걸음걸이 주의보’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