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혜규(41) 작가
|
카셀도쿠멘타 초청에 미·영 전시
국경 넘나들며 ‘최고의 해’ 보내
하우스 데어 쿤스트 출품작 화제
“아시아 지역 디아스포라에 관심
특히 서경식 교수 인물연구 흥미”
2012년 가장 활발하게 세계를 넘나든 한국 미술가라면 독일에서 활동중인 양혜규(41·사진) 작가를 들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작가로는 20여년 만에 세계 최대 미술 행사인 독일 카셀 도쿠멘타에 나간 것은 일부에 불과했다. 연초 미국 뉴욕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스페인과 영국, 그리고 독일 전시가 이어지면서 그는 정말 ‘글로벌하게’ 한 해를 보냈다.
흥미로운 점은 그가 ‘처음’을 장식하는 작가로 인기가 높다는 점이다. 그를 초청한 미술 공간들을 보면 처음으로 공간을 열거나, 새로 바뀐 뒤 처음 전시를 마련한 곳이 유독 많았다. 영국을 대표하는 현대미술 공간인 테이트 모던이 예전 발전소였던 시절 기름 저장소를 미술 전시장으로 바꾼 전시장 ‘탱크’를 열면서 첫 전시에 양 작가를 초청했고, 자연보호구역에서 지속 가능성을 알리는 독특한 비엔날레로 지난해 처음 시작한 스페인 우르다이바이 비엔날레도 1회 주요 작가로 그를 초청했다. 하반기에는 독일의 현대미술 전시장인 뮌헨의 하우스 데어 쿤스트가 거대한 중앙 홀을 ‘특별한 단독 작품 하나를 1년씩 전시하는’ 새 공간으로 개조하면서 첫 작가로 양혜규를 골랐다. 그만큼 그의 작업이 강렬한 인상을 준다는 방증일 것이다.
양 작가가 하우스 데어 쿤스트에 설치한 블라인드 작품 <서사적 분산을 수용하며>(아래 사진)는 그동안 보여준 블라인드 작업의 새로운 변화이자 높이 9m에 이르는 거대 작품이란 점에서 눈길을 끈다. 독일의 대표적 미술 공간이 야심차게 새 전시 공간을 출범하면서 첫 번째 작가로 그를 고른 점도 화제였다. 한국을 찾은 양 작가를 지난 26일 만났다. 그는 하우스 데어 쿤스트란 곳의 역사, 그리고 ‘공공성’을 강조하는 기획 의도가 흥미로워 작업 요청을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
<서사적 분산을 수용하며>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