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들 정중화(왼쪽)씨와 함께 연주하고 있는 정성조씨
|
정성조, 2번째 유학 뒤 무대복귀
‘국내 재즈스승’ 색소폰 연주자
대학교수 퇴임뒤 미국서 만학
지휘수업에 음반녹음까지 열정
“배움 자체에 큰 즐거움 느껴”
아들과 함께 클럽연주활동 시작
“전에 매주 이 무대에 서다가 1년 반의 공백기를 가진 뒤 다시 돌아왔습니다. 이렇게 반겨주시니 정말 감사합니다.”
지난 11일 밤 서울 청담동 재즈 클럽 ‘원스 인 어 블루문’ 무대에 선 정성조(67)가 말문을 열었다. 재즈 색소폰 연주자이자 한국 대중음악계의 ‘큰 스승’인 그는 지난 1년 반 동안 어디로 사라졌던 걸까?
중학교 시절 처음 색소폰을 잡은 그는 고등학교 2학년 때인 1960년대 중반 미8군 악단에서 본격적으로 연주를 시작했다. ‘한국 록의 대부’ 신중현이 당시 악단의 기타리스트였다. 서울대 작곡과에서 공부한 그는 1970년대 들어 국내 최초의 브라스 록 그룹 ‘정성조와 메신저스’를 결성하고 연주 활동을 했다.
“나이트클럽에서 매일 연주하다 문득 ‘이런 식으로 하다 보면 평범한 연주인으로 머물겠구나.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당시엔 클럽 사장들이 건달 계통이어서 일을 그만두겠다는 얘기를 쉽게 꺼내기 힘들었지만, 어렵게 담판을 지었죠.”
1979년 미국 보스턴 버클리음대로 무작정 떠났다. 공부를 하다가도 뉴욕 한인 술집에서 연주하며 학비를 벌었다. 휴학하고 로스앤젤레스로 넘어가 돈을 벌기도 했다. 꼬박 4년 만에 졸업했다. 국내 음악인이 버클리음대를 졸업한 건 최초였다.
한국으로 돌아온 그는 뮤지컬 음악감독 일을 주로 했다. 영화 <깊고 푸른 밤> <공포의 외인구단> 음악을 맡기도 했다. 1995~2005년 케이비에스(KBS) 관현악단장을 맡고 <열린음악회> <빅쇼> 음악감독도 지냈다. 그는 맥주 광고음악을 만들기도 했다.
“재즈 한다고 하면, 모나고 자존심 센 사람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요. 고정관념이죠. 저는 모두 다 같은 음악이라고 생각해요. 재즈 음악인도 음악을 좀 다양하게 해야 해요. 중국집 가면 짜장면도 먹고, 짬뽕·볶음밥도 먹을 수 있는 것처럼요.”
|
정성조(67)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