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수 이문세
|
6월1일 올림픽 주경기장서 콘서트
관객 위해 소극장 공연 선호했지만
발라드 가수로 큰 무대 욕심 생겨
“노래만 듣게 놔두지 않을 거예요”
서울 잠실 올림픽 주경기장은 가수들 사이에서 ‘꿈의 무대’로 불린다. 관객이 5만명까지 들 수 있다. 외국 팝스타 말고 이곳에서 혼자 공연한 국내 가수로는 조용필·이승철·이승환 정도다.
올해 데뷔 30년을 맞은 가수 이문세(사진)가 6월1일 저녁 8시 이곳에서 ‘대.한.민.국. 이문세’라는 제목의 단독공연을 한다. 20일 서울 홍대앞 한 카페에서 만난 이문세는 그러나 “데뷔 30돌을 기념해 큰 무대에 서는 건 아니다. 그냥 언젠가 한번 도전해보고 싶은 무대였고, 지금 그때가 왔을 뿐이다”라고 말했다.
애초 그는 큰 공연장을 선호하지 않았다고 한다. “10여년 전 주경기장에서 마이클 잭슨 공연을 보면서 ‘이렇게 큰 곳에서 공연하면 안 되겠구나’라고 생각했어요. 세계적인 아티스트이긴 하지만, 관객들과 충분히 섞이지 못한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물과 기름 같았죠. 그래서 저는 관객 한명 한명에 초점을 맞추자는 마음가짐으로 소극장·중극장 공연에 치중했어요.”
그랬던 그가 주경기장 공연 준비에 들어간 건 4년 전부터다.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의 제법 큰 야외무대에서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친 그에게 ‘정적인 발라드 가수로서 가장 큰 공연장에 서보는 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스쳤다. ‘국내 최초로 5만명 앞에 서는 발라드 가수가 돼보자’는 결심을 하고 단계별 계획을 세우고 밟아갔다.
소극장부터 1만명이 드는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까지 오가며 수많은 공연을 했다. 2011~2012 월드투어 ‘붉은 노을’ 때는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등 외국까지 포함해 20개월 동안 40개 도시에서 100회 공연을 하는 기록도 세웠다. 그는 체조경기장에서 3회 공연을 했을 당시를 잊지 못한다고 했다. 마지막 날 무대에서 기어이 눈물을 터뜨렸던 그는 “큰 공연장이라도 진정성 있게 준비한다면 관객들은 소극장처럼 몰입할 준비가 돼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했다.
|
서울 잠실 올림픽 주경기장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