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래식계의 대표적 콤비인 첼리스트 미샤 마이스키(왼쪽)과 피아니스트 마르타 아르헤리치. 30년 넘게 호흡을 맞춰온 두 사람은 5월6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콘서트를 연다. 크레디아 제공
|
클래식 음악계의 명콤비들
내달 방한 마이스키·아르헤리치첼로-피아노 2중주로 30년 호흡 의견 대립으로 등돌린 사례도
그리모·아바도 6년만에 결별 피아노를 뺀 대부분의 악기는 무반주곡을 연주할 때를 빼고 필연적으로 누군가와 짝을 이뤄야 한다. 때때로 안정된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일은 연주자의 경력을 좌우할 만큼 중요하다. 이 때문에 음악적으로나 인간적으로 잘 맞는 짝을 찾은 경우, 평생을 두고 그 끈을 유지하며 함께 음악세계를 만들어 나간다. 5월6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듀오 콘서트를 여는 첼리스트 미샤 마이스키(65)와 피아니스트 마르타 아르헤리치(72)는 클래식 음악계에서 대표적인 짝이다. 젊은 시절부터 30년이 넘는 긴 세월 동안 호흡을 맞춰온 두 사람은 헤아리기 어려울 만큼 많은 무대에 함께 섰고, 수십장의 듀오 음반을 남겼다. 2011년 도이체 그라모폰에서 출시한 <나의 소중한 마르타>(My Dearest Martha)라는 제목의 음반은 둘의 관계가 얼마나 친밀한지를 보여주는 좋은 증거다. 이 음반은 마이스키가 아르헤리치의 70살 생일을 기념해, 아르헤리치의 음반 중에서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연주만을 골라 시디 두 장에 담은 것이다. 아르헤리치는 예민하고 완벽주의적인 성격 때문에 연주를 취소하는 일이 잦고 언론과의 접촉을 극도로 꺼리기로 유명하다. 함께하는 상대에게는 불편하게 여겨질 수도 있다. 그러나 마이스키는 “아르헤리치와 연주하는 것은 삶 그 자체와 같다”며 “예측할 수 없고 힘겹지만 세상의 그 무엇보다 아름답다”고 말했다. 마이스키의 음악세계에서 만약 아르헤리치를 뺀다면 균형을 잃게 될 것이다. 피아노를 포함하는 거의 모든 실내악 음반과 주요 연주회를 함께 해왔기 때문이다. 마이스키와 아르헤리치가 한국 청중 앞에 나란히 서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스트라빈스키의 <이탈리아 모음곡(풀치넬라 중에서)>과 베토벤의 <첼로 소나타 2번>, 슈베르트의 <아르페지오네 소나타>, 쇼팽의 <서주와 화려한 폴로네이즈>를 연주할 예정이다. 모두 듀오 음반으로 녹음했던 곡들이다.
|
수십년 동안 단짝으로 함께 공연해온 바이올리니스트 안네조피 무터(아래)와 피아니스트 램버트 오키스(위).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