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몬테크리스토>의 다양한 의상들. 올해 여름 뮤지컬은 18~19세기 프랑스와 영국 등 유럽을 배경으로 하는 시대극들이 몰리면서 화려한 의상들이 볼거리 전쟁을 벌일 전망이다. 좀더 화려하게, 좀더 세밀하게 당시 배경을 되살리기 위해 의상에 많은 공을 들이면서 완벽한 고증과 현대적 재해석을 시도한 점이 특징이다. <몬테크리스토>(왼쪽)와 <두 도시 이야기>의 다양한 의상들. 각 회사 제공
|
18~19세기 유럽 무대 뮤지컬 셋
인도서 원단 공수해서 자수 놓고
인물별로 전담 의상스태프까지 둬
화려함과 웅장함에 패션쇼 보는듯
올여름, 뮤지컬을 사랑하는 관객들은 200년 전 유럽으로 시간여행을 떠날 수 있을 듯하다. <몬테크리스토>, <두 도시 이야기>, <스칼렛 핌퍼넬> 등 이례적으로 18~19세기 유럽을 무대로 한 뮤지컬들이 줄줄이 무대에 오른다. 시대극이라는 공통점을 지닌 이 작품들은 비슷한 배경을 좀더 특별하게 표현해 관객들의 눈을 사로잡기 위해 치열한 ‘볼거리 경쟁’을 벌이고 있다. 시대극에서 가장 도드라지는 볼거리는 바로 의상. 같은 시대를 배경으로 해도 주인공의 신분과 계급, 이야기 전개에 따라 의상은 큰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다.
가장 먼저 7일 개막하는 <몬테크리스토>는 주인공 단테스의 신분이 선원→죄수→해적→귀족으로 바뀌기 때문에 다양한 19세기 의상을 다채롭게 볼 수 있다. 제작사인 이엠케이 뮤지컬컴퍼니 신혜진 과장은 “수수한 서민 의상부터 최상층 귀족들의 파티 의상까지 180세트 이상의 옷과 액세서리를 준비했다”며 “특히 귀족 여인 역의 배우들은 옷맵시를 살리기 위해 당시 유럽 여성들이 입었던 슈미즈·페티코트 등의 속옷까지 갖춰 입는다”고 설명했다.
특히 당시 유럽에서 동양의 의상·그림·도자기·액세서리가 부의 상징이 되며 유행했다는 점에 착안해 백작이 된 몬테크리스토의 의상에는 자수·비즈 장식을 달아 이국적인 느낌을 최대한 살렸다. 한정임 디자이너는 “주인공의 의상은 인도에서 직접 공수한 원단으로, 인도의 장인들이 비즈와 수를 놓았다”며 “원단을 구하기 위해 의상 스태프들이 두 번이나 인도를 방문했다”고 말했다. 클라이맥스인 파티 장면에 나오는 몬테크리스토의 롱재킷은 2만개 이상의 비즈를 달아 화려함의 극치를 보여주고자 했고, 빨간 망토에는 불타는 뱀을 형상화한 자수를 놓는 등 100% 수작업으로 의상을 제작했다.
|
<두 도시 이야기>의 다양한 의상들. 각 회사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