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극 <나는 나의 아내다>
|
[문화‘랑’]문화인
동성애·성전환·복장도착자 등
“소수자 아픔 통해 자기치유 경험”
소수자 이야기를 담은 연극과 뮤지컬들이 최근 잇따라 무대에 오르며 관객몰이를 하고 있다. 주류 위주의 시각을 벗어나 다양성을 추구하는 문화의 속성상 ‘소수자 코드’를 주제로 한 공연이 처음은 아니지만, 최근의 추세는 분명 두드러져 보인다.
지난달 말부터 서울 종로 두산아트센터에서 공연중인 연극 <나는 나의 아내다>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실존했던 독일의 ‘복장도착자’ 샤를로테 폰 말스도르프의 파란만장한 인생을 뼈대로 한 작품이다. 중견 배우 남명렬이 검은색 드레스에 진주목걸이를 걸고 구두를 신은 여장남자로 나와 1인 35역을 연기한다. 이 작품은 성적 소수자인 인물이 나치시대와 동독 치하의 격변기를 살아내는 과정을 통해, 다수자의 눈이 아닌 소수자의 눈으로 바라본 역사를 이야기한다. 강량원 연출가는 “이 연극은 남자도 여자도 아닌 그 경계에 선 한 인간이 살아낸 역사를 미시적으로 들여다본 것”이라며 “이 작품을 통해 내가 타인을 바라봤던 편파적이고 단선적인 시선을 넓힐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꽃미남이자 천재인 두 청년의 동성애와 살인사건의 미스터리를 다룬 뮤지컬 <쓰릴미>도 지난달 다시 무대에 올라 9월까지 공연을 이어간다. 미국 전역을 충격에 빠뜨린 리처드 러브와 네이선 레오폴드 유괴사건을 모티브로 만들어져 2007년 초연되어 수많은 마니아 팬을 양산했다. 남성 2인극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작품으로, 두 배우의 키스신 등 다소 수위가 높은 장면도 있지만 한국 관객들에게도 호응을 얻었다.
|
뮤지컬 <쓰릴미>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