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명훈(60) 예술감독. 사진 서울시립교향악단 제공
|
메시아 ‘할렐루야’ 합창 기립 전통
따를 필요 없이 앉아서 들어도 돼
베토벤 인류애 담긴 ‘환희의 송가’
독일·일본 파시스트들이 악용한 곡
연말이 되면 헨델의 오라토리오 <메시아>와 베토벤의 교향곡 9번 <합창>이 울려 퍼진다. 대규모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이 빚어내는 장엄한 음악과 숭고한 메시지가 한해를 보내는 뜻깊은 달에 잘 어울리기 때문이다.
■ 할렐루야가 나오면 일어나야 할까, 말아야 할까? 국립합창단은 19일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헨델의 <메시아>를 연주한다. 바로크음악과 오라토리오 연주에 정통한 빈프리트 톨(58·프랑크푸르트음대 합창지휘과 교수)이 지휘를 맡아 <메시아>를 원전 양식으로 선보인다. 독일 에르푸르트오페라하우스 주역단원으로 활동한 소프라노 석현수, 알토 김선정, 테너 박승희, 베이스 나유창씨와 원전 연주 전문단체 바흐솔리스텐서울 바로크오케스트라가 함께한다.
<메시아>는 인기 오페라 작곡가였다가 잇단 흥행 실패로 어려움을 겪던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1685~1759)이 종교적 주제의 성악 음악극인 오라토리오 작곡가로 거듭나는 계기가 된 작품이다. 헨델은 1741년 류테난트 공작의 의뢰로 3주일 만에 연주시간이 2시간이 넘는 대작을 작곡했다. 제1부는 ‘예언과 탄생’, 제2부는 ‘수난과 속죄’, 제3부는 ‘부활과 영원한 생명’의 내용을 담았다. 특히 제2부 마지막의 44번째 곡에는 유명한 ‘할렐루야’ 합창이 등장한다.
<메시아>는 1750년 연주에서 영국 국왕 조지 2세가 ‘할렐루야’ 합창 때 감동을 받아 벌떡 일어난 이후로 ‘할렐루야’ 합창 대목에서 청중이 기립하는 전통이 있다. 하지만 조지 2세가 공연장에 늦게 도착해서 사람들이 경의를 표하기 위해 일어났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그러니 반드시 따라할 필요 없이 편안하게 음악에 집중하면 된다. (02)587-8111.
|
사진 서울시립교향악단 제공
|
사진 서울시립교향악단 제공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