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고궁박물관 지하2층 전시실에 진열된 종묘대제 때의 제례상.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
국립고궁박물관 ‘종묘특별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종묘’
역사·제례·음악 등 한자리에
의궤 기록 따라 신실 ‘제사상’ 재현
조상과 교감 위해 덩어리째 바쳐
신실·부엌 훑고 종묘 제례악 마무리
그로테스크한 풍경이었다. 금방이라도 비린내가 날 듯한 시뻘건 생고기 덩어리들이 함엔 그득했다. 소 모양, 코끼리 모양, 부릅뜬 눈 모양의 거대한 술동이들도 상 위에 늘어서 주위를 위압했다.
역대 조선 임금이 선왕들에게 바친 종묘의 제사상 풍경은 기묘하다. 엄숙하지만, 으스스한 느낌이 앞서 다가온다. 전시장 한쪽을 채운 제사상은 규모나 양감, 차린 음식의 재료나 모양새 등에서 엽기적이란 인상도 준다. 고기와 생곡식 낟알을 가득 채운 상 말고도 여섯개의 거대 동물모양과 기묘한 문양을 새겨놓은 큰 금속 술항아리를 얹은 술상이 하나 더 앞에 붙는다. 제사상의 주인공은 돼지와 양과 소의 각 부분 고기 덩어리를 큼지막하게 썰어 첩첩이 쌓아놓은 ‘생갑’이란 쟁반이다. 혼백을 보내기 위해 희생한 가축의 생간과 곡식을 함께 태우는 번간로란 화로가 가장자리에 놓인 것도 눈길을 끈다.
지난달 29일 개막한 서울 경복궁 안 국립고궁박물관 지하 2층의 ‘종묘’ 특별전에서 가장 흥미로운 볼거리는 종묘 각 신실에 놓인 제사상을 재현한 공간이다. 실제 종묘제례에 쓰는 제기들을 조선의 의궤와 각종 종묘 기록에 따라 그대로 살렸기 때문에 옆에서 직접 지켜보는 듯한 생동감을 느끼게 된다. 제상 앞 바닥에는 구멍이 뻥 뚫렸다. 제사 시작 때 구멍에 울창주란 술을 흘려 지하에 깃든 영령인 백(魄)을 불러올렸다고 한다. 고대 주나라에서 연유한 유교 제례의 극한을 기묘하게 보여주는 제상 풍경이다.
|
임금과 왕비의 신위가 봉안된 신실 앞에 곡식과 생고기 등을 바치는 장대한 제사상을 실물 그대로 재현했다.(왼쪽) 종묘제례상 앞에 별도로 차리는 준소상(술상)에 놓는 제기들. 각각 네개씩 술동이가 보인다. 코끼리·소모양을 하거나 표면에 산이나 닭, 봉황이 새겨졌다. 술동이들 사이에 있는 것이 술잔(작)이다. 모두 고대 주나라의 청동제기에 뿌리를 두고 있다.(오른쪽)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