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박물관 ‘서소문·동소문 별곡’
순교성인 처형된 서소문
박해 거쳐 교단 자리잡는 과정 전시
뮈텔 주교 소장한 문서들 눈길
최초 수도원 있던 동소문
경북 왜관 이전까지 변천상 담아
수도사들 소장자료·생활 유물
‘두개의 문을 잊지 말라!’
천주교 전래 230돌,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을 맞는 한국 천주교회는 지금은 사라진 두개의 문을 주목한다. 서울 성곽에 있던 서소문과 동소문이다. 1392년 태조 이성계가 한양성을 개창한 이래 서울 외곽 서남쪽과 동북쪽 길목이던 두 문은 천주교 신앙의 씨앗을 흩뿌린 본산과도 같다. 한강으로 흐르는 지천변 계곡의 평지였던 서소문 일대는 19세기 숱한 신자들이 처형됐던 땅이다. 103위 성인 중 44위가 순교했고, 교황 방한 때 복자로 올릴 124위 중 27위 또한 여기서 숨을 거뒀다. 오늘날 혜화동인 동소문 일대는 서양 성직자들이 처음 수도원을 세웠던 본거지였다.
서울 신문로 서울역사박물관에서 8일 개막한 ‘서소문·동소문 별곡’ 전은 이 두 문에 얽힌 신앙의 공간사를 탐구한다. 두개의 문 주위에서 펼쳐진 근대기 천주교의 파란만장한 공간 역사를 처음 다양한 유물과 자료들을 통해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천주교의 전교 활동이 역사도시 서울의 생활 공간을 어떻게 바꾸었는지도 짚어준다. 서울의 근대공간사에서 서소문, 동소문이 후대 큰 유통시장이자 학교촌으로 구실한 것은 기실 천주교 전래사와 밀접한 연관을 맺는 까닭이다. 강홍빈 관장은 “교회사와 도시사, 역사지리학의 여러 성과들을 공간 중심으로 두루 아울렀다”며 “서울 공간의 역사를 통해 서소문과 동소문을 살펴보니 천주교와 깊은 연관을 가지며 변천했음을 알게됐고, 교황 방한까지 겹쳐 천주교 관련 대형 기획전으로 덩치를 키우게 됐다”고 설명한다.
|
대한제국수립경축행사 초대장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