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낮 음악인 이옥경씨가 휴전선 비무장지대 바로 밑인 양지리의 폐정미소 안에서 첼로로 불협화음을 연주하는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다. 아트선재센터 제공
|
리얼 디엠제트 프로젝트
철원 양지리 마을 곳곳 머물며
국내외 작가들 작업 구상·설치
이옥경씨 첼로 ‘불협화음’ 백미
31일부터 새달 27일까지 전시
“야, 지평선이다!”
산 정상에서 누군가 외쳤다. 정말이었다. 철원 비무장지대(DMZ)의 울창한 수림 너머 북쪽에, 평강고원의 지평선이 빛나고 있었다. 그 땅의 선은 북녘 첩첩산봉우리 사이를 힘차게 죽죽 걸치면서 멀리 허공을 이고있는 모습이었다. 화산 폭발로 형성됐다는 북쪽 고원은 지평선 아래 검붉은 현무암 빛으로 물들었고, 디엠지 남쪽 철원 평야는 막 황금빛으로 변하는 중이다. 비갠 하늘 아래 더욱 박진감있게 다가오는 철원 디엠지의 파노라마다. 국내에서 보기힘든 지평선이 힘찬 산세와 만나 부린 절경 앞에 ‘한반도의 스위스 같다’는 찬사가 터져나왔다.
27일 낮 강원도 옛 철원읍의 서쪽 고지 소이산 꼭대기. 진창길 걸어 올라온 수십여명의 작가와 기획자, 취재진은 이 디엠지 절경부터 넋놓고 감상했다. 그 뒤 풍광을 배경 삼아 소이산에 벌인 미술가들 난장을 살펴보기 시작한다. 정상 아래 벙커로 들어가 불을 켰다. 텅빈 공간에 반들거리는 스텐스틸 테이블과 그 옆벽에 유령처럼 쪼그린 사람 이미지를 붙여 놓은 것이 눈에 띄었다. 유럽에서 활동해온 중견작가 구정아씨가 ‘친애하는 영회에게’로 이름붙인 이 설치작업은 평화로운 몽상이다. 2차 대전과 한국전쟁을 겪은 가상의 인물 영회를 떠올리면서 벙커의 군사적 용도가 끝날 미래에 작가들의 새 작업공간으로 벙커를 상상한다는 생각을 담았다. 평강고원 지평선이 눈에 잡히는 정상 전망대에는 알버트 삼레스라는 미국 작가가 전등갓과 거울들을 치렁치렁 매단 작품들을 설치해 생뚱하면서도 야릇한 느낌을 안겨준다. “남한의 대량생산 문화, 북한의 획일성을 동시에 짚은 작품”이라고 작가는 말했다.
|
사진은 전등갓, 거울 등으로 이뤄진 앨버트 샘리스의 소이산 설치작품. 아트선재센터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