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왕’ 으로 불렸던 가수 신해철이 우리 곁을 떠났다.
|
‘마왕’ 신해철을 떠나보내며
“세상의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영웅을 맘에 갖고 있어/유치하다고 말하는 건 더 이상의 꿈이 없어졌기 때문이야” (넥스트 ‘히어로’) 한 명의 영웅이 세상을 떠났다. 이것은 흔한 수사적 표현이 아니다. 그는 1990년대를 지나온 이들에겐 한 번쯤 통과의례처럼 지나야 하는 상징과 같은 인물이었다. 신해철이란 이름은 한 시대를 대변하는 이름이었고, 음악적 신뢰와 실험의 다른 이름이기도 했다. 1988년 성탄 전야에 열린 대학가요제 무대. 한 번만 들어도 잊을 수 없는 도입부가 울려 퍼지던 순간, 노래의 마지막에 “내 삶이 끝날 때까지 언제나 그댈 사랑해”라고 속삭이듯 노래하는 순간, 많은 이들이 걸출한 음악가의 탄생을 예감했다. ‘그대에게’로부터 시작한 그의 음악 여정은 놀라움과 파격과 실험으로 가득했다. ‘인기’가수의 길을 걸었던 솔로 시절에도 그는 프로듀서로서 자신의 앨범 전체를 통제할 수 있었고, 90년대의 시작과 함께 윤상, 송재준 등과 미디음악(실제 악기 대신 컴퓨터로 만드는 음악)의 선구자로 얘기될 만큼 새로운 경향을 받아들이는 데 적극적이었다. 이후 안정적인 솔로 가수의 길을 포기하고 록 밴드 넥스트를 결성한 것도 파격이었지만, 넥스트를 통해 들려준 음악은 더 파격이었다. 록·메탈서 일렉트로니카까지한국대중음악 수준 끌어올리고
인디음악 알리는데 적극적 역할
1990년대를 지나온 이들에겐
통과의례처럼 지났던 ‘상징’ 1992년 첫 앨범을 발표한 이후 넥스트는 넉 장의 앨범을 통해 우리도 이 정도 수준의 음악을 들려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보였다. ‘New Experimental Team’이라는 팀명처럼 그 전까지 한국 대중음악계에선 쉽게 들을 수 없던 새롭고 실험적이고 강한 록·메탈 음악을 전면에 내걸었다. 2집
|
밴드 무한궤도로 데뷔한 가수 신해철은 솔로 앨범 6장, 밴드 넥스트 앨범 4장 등을 통해 파격적이고 실험적이면서도 대중적인 음악을 꾸준히 선보였다.
|
음악적 신뢰와 실험의 이름이었다
이렇게 한 명의 영웅이
또 세상을 떠난다 넥스트와 모노크롬 등의 프로젝트를 통해 이룬 사운드 프로덕션의 성취는 두고두고 회자될 만한 것이었다. 그가 맨땅에 부딪쳐가며 얻은 경험과 지식은 그대로 후배들에게 전달되었다. 그의 지휘 아래 데뷔 앨범을 만들었던 전람회가 대표적이고, 그밖에도 많은 후배들이 수혜 대상이 됐다. 그로 인해 90년대 한국 대중음악계가 한층 더 풍성해졌음은 물론이다. 그는 음악가로서뿐 아니라 전달자로서도 음악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라디오 프로그램의 디제이로 한국 인디 음악을 비롯해 비주류 음악을 알리는 데 적극적이었다. 세상을 떠난 달빛요정역전만루홈런의 ‘절룩거리네’가 세상에 알려질 수 있었던 데는 그의 라디오 프로그램이 절대적인 역할을 했다. 장기하의 ‘싸구려 커피’를 두 번 틀고는 이런 노래는 한 번 더 들어야 한다며 세 번 연속으로 같은 노래를 튼 것도 그였다. 그의 라디오 프로그램은 인디 음악이 소개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였고, 그는 인디 음악가들의 든든한 후원자이자 조언자였다. 오랜 음악적 침체를 겪은 뒤 그는 적극적으로 재기를 모색하고 있었다. 최근 공개한 ‘아따(A.D.D.A)’와 ‘I Want It All’은 다시금 기대를 갖기에 충분한 매력적인 곡들이었고, 넥스트의 재결성을 선언한 그에 곁엔 창단 멤버인 정기송이 함께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 모든 기대를 뒤로 하고 갑작스레 그는 떠났다. 굳이 감상적인 말을 덧붙이진 않겠다. 그가 남긴 노래들은 지금까지 그래왔듯 오래도록 우리의 곁에 있을 것이다. 그는 우리의 영웅이었다. 우리의 추억을 그와 90년대에 바친다. 김학선 대중음악평론가 studiocarrot@naver.com ▶ 신해철이어서 할 수 있던 말…“MB는 박정희 아닌 전두환”
▶ 신해철, 그가 세상에 남긴 말들
▶ ‘마왕’ 신해철과의 추억…대중은 아직 그를 놓치 못했다
▶ ‘민물장어의 꿈’ 음원차트 1위
▶ 신해철 “내 장례식에서 퍼질 곡”…‘민물장어의 꿈’ 재조명
▶ 신해철 3년 전 유언장…“다시 태어나도 당신의 남편이”
▶ 서태지 “신해철은 내게 산과 같은 존재” 추도문
▶ 남궁연 “신해철, 독설가 아닌 순진하고 따뜻한 친구”
▶ “지성 갖춘 강심장이었다”…신해철 애도 이어져
▶ “제발 아프지 말아요”…‘마왕’ 신해철 끝내 지다
▶ 마주한 풍경이 같아 우리 안에 있는 교주, 라젠카 신해철
▶ 서태지는 흉내 못낼 존재를 성찰한 마왕, 라젠카 신해철 ▶ [한겨레 프리즘] 신해철의 죽음 / 김양중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