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아노를 치고 있는 <원스> 여주인공 ‘걸’ 역의 전미도 씨.
|
피아노 못치는데 원스 ‘걸’ 맡아
6개월 연습…관객들 “연주 참 좋아”
어눌한 말투 위한 발음법칙 만들기도
“사실 전 피아노 악보도 읽을 줄 몰라요. 이 역할이 너무 하고 싶어 피아노 선생님 도움으로 건반 치는 순서를 그냥 통째로 외웠어요. 공연 보신 분들이 ‘피아노 못치는 줄 몰랐다’고 할 때, 연기 잘하다는 말보다 더 듣기 좋더라고요.”
지난달 3일 개막한 뮤지컬 <원스>에서 여주인공 ‘걸’역할을 맡은 전미도(33)는 ‘피아노 연주가 참 좋았다’는 칭찬에 얼굴을 붉히며 이렇게 ‘고백’했다. 화려한 무대와 세트 등 겉치장을 걷어낸 대신 배우들이 악기를 직접 연주하며 오직 ‘음악’만으로 승부하는 공연인데, 너무 ‘간 큰 도전’은 아니었을까? “오디션 때도 지정곡 두 곡만 독하게 연습해 갔어요. <번지점프를 하다> 공연을 하면서 <베르테르>를 연습 중이었지만, 배역이 너무 탐나 욕심을 부린거죠.”
6개월 넘게 피나는 연습을 했지만, 크고 작은 실수는 어쩔 수 없다. 오프닝 공연에선 연주 도중 박자를 놓쳐 멈칫거리기도 하고, 어떤 날엔 한 마디를 건너뛰고 연주하기도 했다. “오케스트라도, 밴드도 없으니 틀려도 숨을 곳이 없어요. 이젠 스스로 위로하죠. ‘조금 틀리는 것도 인간적인 매력이 있지 않나’. 하하하. 틀려도 아무렇지 않게 넘어가는 기술도 좀 배웠고요.”
피아노 연주만큼이나 넘어야 할 벽은 바로 ‘요상한 말투 연기’였다. 영화 <원스>에서와 마찬가지로 뮤지컬 <원스>의 여주인공 ‘걸’은 체코이민자로, 다소 어눌한 영어를 구사하는 걸로 설정했다. 한국어 공연에서 이런 ‘재미’를 어떻게 표현하느냐가 고민거리일 수밖에 없었다. “<번지…> 할 때 작곡가가 외국인이었는데, 한국말을 무척 열심히 연습하던 모습이 떠올랐어요. 그걸 바탕으로 남편을 상대로 연습하며 발음 법칙을 하나씩 만들어 나갔죠. 제가 부산 출신이라 사투리 교정을 했었는데, 그 경험을 역이용하니 좀 수월해지더라고요.”
|
배우 전미도 씨.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