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혜규 작가의 전시장. ‘중간유형’으로 이름붙인 인조짚풀 조형물 두점이 보인다. 왼쪽은 외발사자춤, 오른쪽은 보로부두르 사원을 본떠 만들었다. 뒤쪽 벽에 걸린 평면작품은 보안무늬가 인쇄된 편지봉투 조각을 콜라주해 붙인 ‘신용양호자 #240’.
|
아쉬움 남긴 ‘코끼리를 쏘다…’ 전
설치 작가 양혜규 리움서 개인전
짚풀로 만든 민속적 조형물 등
최근작서 초창기 작품까지 총망라
분산된 공간에 맥락없이 흩어져버려
10년 전 건축거장 렘 쿨하스가 지은 서울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 기획전시실은 전시하기 까탈스럽기로 소문났다. 국내 작가들 누구나 선망하는 공간이라 기회를 잡기 어렵고, 전시하려해도 제대로 차려내기 쉽지 않은 공간이라는 뜻이다.
기획전시실은 떠있는 듯한 검은 콘크리트 전시실 ‘블랙박스’와 이 구조물에 눌린 얼개의 아래층 그라운드갤러리로 나뉜다. 전시공간이 상하층 곳곳에 분산돼, 작품 배치와 관객 동선 짜기가 여간 어렵지않다고 한다. 특히 블랙박스는 원래 미디어아트 전시를 염두에 둔 방으로, 미술판에서는 ‘블랙홀’이라고도 부른다. 명쾌하게 전시 개념을 잡고 작가의 의지를 관철하지 않으면 난해한 공간 안에서 종잡기 어려운 백화점 전시가 되기 십상인 까닭이다.
5년 만에 이곳에 차려진 스타작가 양혜규(44)씨의 세번째 국내 개인전 ‘코끼리를 쏘다 象(상) 코끼리를 생각하다’는 이런 블랙홀의 미로를 피해가지 못한 반쪽 회고전이다. 20여년간 세계미술판을 누비면서 겪은 유목민적 체험과 기억들을 일상사물을 동원한 서사적 설치작품 속에 표출해온 것이 작가의 특장인데, ‘회고전’이라는 틀거지 속에 갇힌 신구작들은 제품설명회장처럼 박제화된 느낌이 먼저 온다. 2000년대 이래 베네치아비엔날레, 카셀도큐멘타, 아트바젤 등에 한국 대표작가로 출품했고, 서울, 부산, 광주 등의 국내 비엔날레도 섭렵한 출중한 경력에 비춰 이번 기획의 완성도는 뜻밖이다.
|
양혜규 작가.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