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5일 서울 마포구 연남동 바우하우스에서 열린 제7회 소파사운즈 코리아에서 가수 강유현씨가 노래하고 있다. 사진 소파사운즈 코리아 제공
|
‘소파사 운 즈’ 등 ‘방구석 콘서트’ 퍼져나가
10명안팎 초대관객 가까이서 가 수와 소통
지역문화 살리고 뮤지션 공연기회 늘려
나와 가수 강유현의 거리는 70㎝. 밴드 유발이의 소풍에서 활동했던 강유현씨는 “내가 발이 못생겨서 밴드 이름을 ‘유발이’라고 지었다”고 했는데 가수 발가락이 훤히 보이는 것은 물론 숨소리까지 들릴 만한 거리다. 가수는 맨발로 나타나 건반을 두드리며 노래한다. 15명쯤 되는 관객들도 친구 집에 놀러 온 듯 30㎡(약 9평) 넓이 거실 바닥에 편안히 둘러앉았다. 지난 25일 오후 5시, 서울 마포구 연남동 한 양옥집 거실에서 ‘소파사운즈 서울’ 공연이 시작됐다.
소파사운즈는 2011년 영국 런던에서 시작된 음악 커뮤니티다. 가정집 방이나 옥상, 정원 같은 곳에서 콘서트를 연다. 보통 하우스콘서트와 다른 점은 초대장을 받은 사람들만 올 수 있다는 것이다. 콘서트에 누가 나올지도 미리 알려주지 않는다. 남의 집에 초대받아 가수와 무릎을 맞대는 즐거움 때문일까? 소파사운즈는 뉴욕, 베를린, 뭄바이 등 100개 도시로 퍼졌다. 소파사운즈 런던 공연이 열릴 때면 보통 2000명이 관람 신청서를 보내곤 한단다.
지난해 8월부터 한국에서도 ‘소파사운즈 코리아’가 시작됐다. 한달에 한번씩 공연을 한다. 이번 공연은 글로벌 숙박 공유 플랫폼인 에어비앤비와 함께 기획해 연남동 게스트하우스 바우하우스에서 열렸다. 주제는 ‘서울 여행’이다. 1부에선 강유현이 프랑스 여행담과 노래를, 2부에서는 하림이 아프리카 여행기를 노래로 들려줬다.
음향장비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곳에서 열리는, 이른바 ‘방구석 콘서트’라 할 만한 유사한 공연 형식은 요즘 드물지 않다. 네이버에서는 음악가가 새 앨범을 낼 때마다 음악 감상회를 열어왔는데 십센치는 좁은 방에서 관객 20명과 ‘쌩목 콘서트’를, 이한철은 6명만 앉혀두고 ‘작은 방 음악 감상회’를 열었다. 조규찬은 아예 자신의 집으로 관객들을 초대해 콘서트를 열었다. 조재윤 네이버 콘텐츠 매니저는 “보통 한시간을 예정해 여는데 시간을 넘기기 일쑤”라며 “뮤지션은 팬들에게 하고 싶었던 이야기가 많고, 관객과 교감이 커져 선호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
25일 서울 마포구 연남동 바우하우스에서 열린 제 7회 소파사운즈 코리아에서 가수 하림이 노래하고 있다. 사진 소파사운즈 코리아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