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최고 권위의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 한국 미술이 약진했다. 임흥순 작가는 아시아 여성노동자의 소외 문제를 다룬 95분짜리 다큐영상 <위로공단>을 출품해 은사자상을 수상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제공
|
세계 최고 권위 미술 비엔날레
‘국내 첫 은사자상’ 임흥순 작가
교감의 힘 돋보인 콘텐츠로 호평
한국관 전시는 첨단LED 기술로
빈약했던 공간 한계 극복 평가
이우환·박서보 등 ‘단색화’ 전시엔
해외 유명 컬렉터 발길 이어져
한국 미술은 약하지 않았다. 세계 미술계의 변방도 더 이상 아니었다. 지난 100여년간 세계 미술계의 가장 큰 잔치이자 국가간 미술경연장으로서 지존의 권력을 누려온 이탈리아 베네치아(베니스) 비엔날레가 올해 우리에게 분명하게 일러준 사실이다.
9일 개막한 베네치아 비엔날레는 6개월여 장정을 시작하면서 본전시에 아시아 여성들의 노동 이야기를 영상으로 푼 임흥순(46) 작가에게 국내 처음 은사자상을 안겼다. 이 상은 최고 국가관과 최고 작가, 평생공로자에게 주는 황금사자상 다음의 상이지만, 35살 이하 작가들을 주로 시상해 젊은 작가들에겐 최고상과 다를 바 없다. 그뿐만 아니다. 한국관, 본전시장이 있는 카스텔로 공원과 시내 운하와 골목길 곳곳에서는 20명 이상의 한국 중견, 소장 작가들이 ‘단색화’전을 비롯해 10건 가까운 특별전시들을 차렸다. 이 중 일부는 서구 미술계의 화제를 낳았고, 세계 미술시장의 큰손들과 미술관 관계자들의 방문이 이어졌다. 이렇게 베네치아에서 한국 미술이 약진한 것은 2년 전까지 어림도 없던 일이다. 현지 단색화 전시를 만든 이현숙 국제갤러리 회장은 “한국 현대미술이 암중모색 끝에 양적 질적으로 분명한 위상을 인정받았다”고 평했다. 2015년 늦봄 베네치아는 한국 미술판에서 잊을 수 없는 성취의 기억을 남긴 시공간이 됐다.
한국 미술은 이번 비엔날레에서 형식과 콘텐츠 두가지 면에서 모두 진일보했다. <위로공단>이란 95분짜리 다큐영화를 출품한 임흥순 작가의 은사자상 수상은 약자들의 이야기로 요약되는 콘텐츠의 승리다. 편견과 학대, 열악한 노동조건 속에 고투해온 아시아 여성 노동자들의 삶을 서정적인 터치로 훑어나간 이 작품은 “신자유주의 사회의 자본 이동과 노동 변화에 따른 현실적 불안을 예술적 언어로 써내려간 새로운 역사 기록”이란 심사위원단의 평가를 받았다. 관객들의 반응도 뜨거웠다. 조선소 창고 자리인 아르세날레의 구석, 좁고 누추한 상영 공간에선 관객 수십명이 들어차 전편을 감상하고 나가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었다. 영화가 미술경연의 수상작이 됐고, 35살 미만의 작가들에게 주어졌던 전례를 뒤집고 46살 임 작가를 선택했다는 사실 자체가 이 영화가 지닌 교감의 힘을 반증한다. 임씨를 포함해 전례 없이 3명이나 본전시에 진출한 한국 작가들의 다른 작품들도 돋보였다. 1970년대 중동 건설 특수의 정치적 의미를 합창 리듬 형식을 통해 풀어낸 남화연씨나 증권 객장의 소리와 움직이는 튤립 꽃 등의 이미지를 결부시켜 투기를 미학적으로 해석한 김아영씨의 작업들도 눈길을 모았다.
|
김환기 작가의 푸른 점화 등 대작들이 눈길을 모은 단색화전도 호평을 받았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