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7.14 19:24 수정 : 2015.07.14 19:24

16세기 대학자 퇴계 이황의 5대손이 지었다는 안동 고택 일부가 서울 강남 압구정동 전시장으로 옮겨왔다.

목수 조전환씨 개인전 ‘집과 집 사이’
퇴계 5대손이 지은 고택 일부 옮겨와

16세기 대학자 퇴계 이황의 5대손이 지었다는 안동 고택 일부가 서울 강남 압구정동 전시장으로 옮겨왔다. 목수는 고택의 삭은 보와 도리를 다시 짠 뒤 기둥을 받치는 박공을 내걸고 서까래를 올려 지붕 한쪽을 재현했다. 300여년을 안동에서 버텼던 고택의 시간은 통째로 해체된다. 자연과 벗했던 고택 곁의 공간은 아파트 숲 속 전시장의 인공적인 방으로 바뀌었다. 옛 집과 재현된 새 집 사이에서 무엇을 느낄 수 있을까. 목수는 왜 이런 해체와 재현의 퍼포먼스를 일부러 벌인 것일까.

대안공간 코너아트스페이스에서 다음달 1일까지 열리는 목수 조전환씨의 개인전 ‘집과 집 사이’는 현대미술과 전통건축의 간극에 대한 생각거리를 던지는 전시다. 한옥 현대화에 관심을 두고 경북 경주에 국내 최초의 한옥호텔 라궁을 시공하기도 했던 조 목수는 다분히 작위적인 한옥 이동과 해체와 재구성의 퍼포먼스가 남긴 고택 지붕의 잔재를 통해 전통건축에 얽힌 여러 이야기들을 펼쳐낸다. 살림살이를 하는 삶터라는 집 건축의 본질과 이를 떠받치는 시간성과 공간성의 함수관계에 대한 성찰을 제안하는 것이다. 관객들은 전시장에서 기둥의 흘림과 박공의 각도, 부재들의 이음새를 살펴보면서 이 고택이 버텨온 과거의 시간들을 떠올려보게 된다. 친근한 전통 혹은 일상주거의 불편함 등으로 막연하게 연상되는 옛 한옥의 단면들을 전시 공간에서 낯설게 뜯어보는 경험은 여러모로 새롭다. 집과 집 사이라는 제목이 암시하듯 전시장에 새로 박제된 채 들어선 옛 살림집 지붕의 부재들은 “그동안 우리가 어떤 삶을 살아왔는가”를 되묻는다. 070-7779-8860.

글·사진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