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오디컴퍼니 제공
|
아시아 초연 디즈니 뮤지컬 ‘뉴시즈’
흔히 ‘빵모자’라 부른다. 머리 뒤를 꾹 눌러줘 바삐 뛰어다녀도 벗겨지지 않을 것 같은 이 모자의 정식 명칭은 ‘뉴스보이캡’. 19세기 말~20세기 초 미국과 유럽 등지의 신문배달 소년들이 주로 쓴 데서 유래했다. 그 소년들을 사람들은 ‘뉴시즈’라 불렀다. 신문이 세상의 주인공이었던 시절, 거리에서는 배곯는 소년들이 신문을 팔며 생계를 이었다. 만약 이 소년들이 권력에 맞서 파업을 일으켜, 심지어 성공했다면? 뮤지컬 <뉴시즈>는 1899년 미국 뉴욕에서 2주간 벌어진 ‘뉴스보이 파업’ 실화를 다룬다. 2012년 토니상 2개 부문을 수상한 디즈니의 브로드웨이 최신 흥행작으로 라이선스 아시아 초연이다. 무대는 ‘파업 전야’의 흥분으로 가득 차 있다. 알고 보면 더 의미 있는 뮤지컬 <뉴시즈>에 얽힌 이야기들을 풀어봤다. ■ 미국에선 역사교육 콘텐츠로도 주인공 잭 켈리(온주완, 서경수, 이재균)는 뉴욕 거리 신문팔이 소년들의 우두머리다. 도로를 침대 삼은 고아들은 잭을 믿고 따른다. 50센트에 신문 100부를 사, 사람들에게 팔고 나면 푼돈이 남는다. ‘퓰리처상’으로 잘 알려진 언론 재벌 조지프 퓰리처가 이 가격을 60센트로 올리면서 갈등이 시작된다. 여기자 캐서린(린아, 최수진)이 이들을 돕기 위해 나서고 이야기는 실화를 따라 해피엔딩을 향해 나아간다. 뉴욕의 상징과 같은 철제계단을 설치한 무대 위에서 소년들은 뛰고 구르고 때론 신문을 집어던지며 관객들을 향해 “우리가 노예가 아니라는 걸 알려줘야지!”라고 외친다. 언론 재벌의 신문값 인상에 저항1899년 뉴욕 ‘2주 파업’ 실화 다뤄
미국선 역사교육 자료로도 활용 애니 주제곡 같은 노래 반복되며
희망적이며 서정적 분위기 연출
신문지 군무에 발레·탭댄스 눈길 19세기 말 미국 노동자들은 일반적으로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에 시달렸다. 전국적 노조를 만들어 대자본에 대항하기도 했지만 기업주들은 폭력단 고용 등 갖은 방법을 써 파업을 막았다. 뉴욕 등 도시는 화려했지만 불빛 뒤편으론 빈민굴이 있었다. 조지프 퓰리처의 <월드>지는 ‘황색 저널리즘’을 퍼뜨리며 발행부수를 크게 확장해나가고 있었다. 이 와중에 ‘뉴스보이’들이 거둔 승리는 그 의미가 남다를 수밖에 없다. “작지만 강한 불꽃이 되어/ 용감하게 전진하라/ 우리의 혁명/ 시작해/ 스트라이크! 스트라이크!”(넘버 ‘시즈 더 데이’(Seize the day) 중에서) 가사 하나도 허투루 들리지 않는 이유다. 뮤지컬 평론가 원종원 순천향대 교수는 “미국 브로드웨이 공연이 끝나면 직원이 단체관람 온 학생들에게 역사적 사실을 설명해주기도 한다. 뮤지컬이 역사교육의 현장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
왼쪽부터 이재균, 서경수, 온주완. 사진 오디컴퍼니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