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광조 도예가의 신작 `산동(山動)'. 옆으로 슥 기울어외형에 화장토가 흘러내린 흔적들로 가득한 표면의 모습에서 자유로움과 비장감이 느껴진다.
|
윤광조, 오수환 작가 ‘희수’맞아 서늘한 2인전
내키는대로 붓질 흙질해온 30여년 작업들 한자리에
작가가 요사이 빚었다는 그릇과 병들은 산덩어리 형상이다. 온 몸에 회색빛 흙물이 줄줄이 흘러내린 흔적을 두르고 비스듬히 옆으로 기울어진 산세의 자태다. 오롯이 한 방향으로 내달리려는 비장한 의지가 감돈다.
한국 도예계를 대표하는 장인으로 꼽히는 윤광조 작가가 올해 70살을 맞아 내놓은 신작 ‘산동(山動)’은 산이 움직인다는 뜻의 제목이 절로 와닿는다. 조선초 분청사기를 계승해 40여년간 자기 삶과 현대 조형정신을 끊임없이 투사해온 그지만, 이번 신작에는 겸허함이 물씬하다. “나이먹고 기력이 쇠해 점차 스러져가는 내 모습을 표현했다”고 했다.
서울 인사동길 가나인사아트센터 1층과 지하에 ‘산동’을 비롯한 그의 신구작 40여점이 모처럼 나왔다. 가나문화재단이 지난달부터 마련한 오수환 화가와의 2인전 ‘놀다보니 벌써 일흔이네: 유희삼매(遊戱三昧) 도반 윤광조·오수환’이 멍석을 깔았다. 70년대 대선배인 고 장욱진(1917~1990) 화가를 통해 처음 인연을 맺었고, 94년 작고한 한국화가 황창배와 함께 호암갤러리에서 3인전을 열면서 평생의 도반이 된 오수환 화가와의 2인 회고전이다. 만년 술친구로 서로를 ‘윤 도사’, ‘오 대인’이라 부르는 동년배 두 대가의 작업 여정을 보여준다.
|
전시에 처음 공개된 고 장욱진 화백과 윤광조 도예가의 합작인 도자판 작품 `닭'. 1984년 장욱진 화백이 윤광조 도예가의 띠동물인 닭을 도자판에 그려주면서 만들어지게 됐다고 한다.
|
|
전시장에 내걸린 오수환 작가의 추상화 연작 `변화'(2008). 붓글씨를 떠올리게 하는 선의 힘찬 움직임과 율동감이 돋보이는 대작들이다.
|
|
오수환 작가의 대작 앞에서 정담을 나누고 있는 오 작가와 윤광조 도예가.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