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극 <시라노 드 베르주락> 연습 장면. 김철리 감독이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2층 연습실에서 배우들을 상대로 극의 진행을 설명하고 있다.
예술의전당 제공
|
좁고 쪼들리던 소극장 벗고 13년만에 중극장으로
다시 연출 맡은 김철리 “넓은 무대 최대한 활용”
프랑스 낭만 희극 <시라노 드 베르주락>을 다시 연극으로 볼 수 있게 됐다. 연출가 김철리(52)씨가 13년만에 다시 연출을 맡았다. 무대는 소극장에서 중극장으로 옮겨 왔다. 지난 1992년 동숭동 학전 소극장의 작은 무대가 예술의전당 토월극장으로 바뀐 것이다. “소극장에서 공연할 때는 원작의 내용을 미처 다 담아내지 못했어요. 이번에는 주어진 공간을 최대한 활용해 다양한 시각적 변화를 추구할 겁니다.” 김 감독은 당시 이 작품으로 동아연극상 연출상을 받았다. 그런데도 아쉬움이 많이 남는 공연이었다. 공간은 좁고 예산마저 쪼들리는 열악한 환경에서 쫓기듯 만들었다. 예술의전당이 ‘토월 정통연극 시리즈’ 네번째 작품으로 <시라노…>를 하자고 했을 때, 선뜻 수락한 것도 그런 아쉬움을 풀어보려는 생각에서였다. “예전에는 아무래도 제가 젊었으니까 웃기는 쪽으로 많이 치우쳤지요. 이번에는 사회의 불합리성을 질타하는, 분노에 찬 인간의 순수성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재미와 메시지를 함께 전하려고 합니다.” 김 감독은 번역과 각색, 배우까지 섭렵하고 있는 전천후 연출가다. 국립극단 예술감독을 지냈으며, 내년부터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예술감독으로 일할 예정이다. 지금은 <목화밭의 고독속에서>(10월5일~11월6일)의 배우로서 매일 저녁 신촌 산울림 소극장 무대에 선다. 지난 한달 동안 배우와 연출을 동시에 소화해 낸 셈이다.
|
연극 <시라노 드 베르주락>의 한 장면. 왼쪽부터 시라노(최규하), 크리스티앙(오동식), 록산느(이안나), 드기슈(전진기). 예술의전당 제공
|
이번 공연의 특징은 연기지도 담당을 따로 둔 것이다. 지난 1992년 <시라노…>에서 김 감독과 함께 조연출로 일했던 오순한씨가 이번에는 연기지도를 맡았다. 오씨는 러시아 국립연극원(TUTC)에서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국립예술대학(GITIS)에서 연극연출로 박사 학위를 땄다. 지난 99년 ‘극단 열린’을 창단한 뒤 연기지도에 매진하고 있다. 김 감독은 “우리나라 배우들은 발성이 약한 편이라 중극장에서 공연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며 “오순한씨는 발성과 언어표현을 집중적으로 훈련시키는 구실을 맡고 있다”고 말했다. 11월8일∼27일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02)580-1300. 이재성 기자 san@hani.co.kr
|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