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피아니스트 김선욱, 이젠 내색깔 찾아야죠
    올해 국내 클래식 음악계는 또 한명의 영재 피아니스트의 활약을 지켜보아야 한다. 한국예술종합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김선욱(17)군. 그는 지난해 9월 스위스 베베이에서 열린 클라라 하...
    2006-01-06 18:21
  • 2006년 미술동네는 비엔날레 축제
    병술년 미술동네에는 어떤 전시들이 기다릴까. 우선 국제 미술 잔치인 3개의 비엔날레가 올 하반기 한꺼번에 열린다. 11년 전통의 광주 비엔날레는 아시아 문화의 힘을 상징하는 ‘열풍 변주...
    2006-01-05 17:59
  • 가수 나윤권…겉멋은 빼고, 탄탄한 기본기는 보태
    발라드에 아르앤비 느낌을 보태는 방식은 대중가요의 큰 흐름이 됐다. 아르앤비, 힙합 등 이른바 흑인 음악이 뜨면서 너도 나도 ‘꺾기’ 따위 테크닉을 선보였다. 2004년 1집 과 지난해에 4곡...
    2006-01-05 17:52
  • 안무가 정영두, 세상의 갈라진 곳 춤사위로 메우고 싶다
    대한민국 무용계에서 안무가 정영두(32·두 댄스시어터 대표)씨의 존재는 각별하다. 인문학적 성찰에 뿌리를 둔 작품을 짤 수 있는 ‘드문’ 안무가이기 때문이다. 내로라하는 무용수는 많아도,...
    2006-01-04 21:11
  • 비디오 작가 이용백씨, 이시대 시각예술의 운명을 보라
    지금 서울 홍대앞 대안공간 루프에 가면 아래 예문에 제시된 ‘설정’들을 비디오 영상으로 틀어준다. #1. 알록달록 만발한 꽃밭 속을 꽃무늬 군복을 입은 전사가 총 들고 느릿느릿 전진한다...
    2006-01-04 20:55
  • 1월 5일 새음반 - 피오나 애플·히로카와 이즈미
    피오나 애플
    2006-01-04 18:25
  • 1976년 진공상태 채운 ‘트로트 고고’
    그래도 음악은 계속되어야 했다. 유신정권이 한국 팝에 발행한 부고장이나 다름없던 1975년 말 대마초 파동으로 만 6년여 동안 가요계의 지형을 변화시켜온 청년음악의 주역 대부분이 싹쓸이...
    2006-01-04 18:22
  • 박선주, 노래 선생에서 가수로 11년만의 귀로
    가수이자 창작자인 이상은(36)과 박선주(35), 시작은 앞서거니 뒤서거니 비슷한데 걸어온 길은 사뭇 다르다. 각각 1988년과 89년 강변가요제에서 데뷔했다. 쾌활한 ‘담다디’로 대중을 사로잡...
    2006-01-04 18:20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