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7.13 18:16 수정 : 2010.07.13 18:16

자료제공 : 바른세상병원

치료 후 강렬한 운동으로 선수생명 연장할 수 있어

축구선수 김씨(21세)는 최근 무릎에 심한 통증을 느껴 병원을 찾았다. 찜질과 파스 등으로 버텨왔지만 운동하기 불편할 정도가 통증이 심해지게 되었다. 가까운 병원을 방문한 그는 무릎 연골이 심하게 파열된 것 같다는 의사의 진단을 받게 된다. 이른 나이에 축구선수로서의 생명이 끝나게 되는가하는 두려움이 앞서 눈앞이 캄캄해진 김씨. 그러나 수소문 끝에 자가연골배양이식술로 유명한 바른세상병원을 찾게 됐고, 1년이 지난 현재 더욱 튼튼해진 다리로 동료들과 즐겁게 경기를 하고 있다.

무릎관절염 방치할 경우 선수생명 포기해야
스포츠인들에게 무릎 통증의 원인은 무릎관절의 과도한 사용 누적이 대부분이다. 무릎 관절은 뼈와 연골(물렁뼈), 연골판으로 이뤄져 있다. 이 중 연골과 연골판은 관절의 운동을 부드럽게 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데 운동선수처럼 충격을 자주 강하게 줄수록 점차적으로 손상되기 마련이다. 연골·연골판이 손상되면 곧바로 통증과 부종이 발생하고 뼈가 맞닿는 느낌이 든다. 걸을 때 통증을 느끼기 때문에 걸음걸이에도 이상이 생기고 관절 모양이 변하기도 한다. 방치하면 손상은 더욱 심해져 인공관절 수술 외에는 별다른 치료방법이 없어 선수생명을 포기해야하는 상황에 이를 수 있다.

연골판이나 연골이 손상되면 곧바로 통증과 부종이 발생하고 무릎이 붓거나 뼈가 맞닿는 느낌이 든다. 이를 방치할 경우 관절 연골이나 연골판에서 파열이 가속화 되어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무릎을 굽혔다 펼 때의 통증이 점차 심해진다.

내 연골 이용해 무릎 관절염 잡는다
최근에는 말기 퇴행성관절염으로 진행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수술이 개발돼 초기 관절염 치료에 좋은 성과를 낳고 있다. ‘자가연골배양이식술’이라 불리는 이 수술은 자신의 연골을 이용해 무릎 관절염을 치료하는 것으로 국내에는 5년 전쯤 도입됐다. 퇴행성관절염을 비롯해 외상으로 인한 관절연골 손상에도 적용 가능한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박지성 선수가 받았다고 알려져 일명 ‘박지성 수술’로도 불린다. 여우진 바른세상병원 원장은 “예전에는 무릎 관절염을 참고 지내다가 결국 인공관절 수술까지 가는 경우가 많았다”며 “자가연골배양이식술은 관절염 초기에 시술하면 손상된 연골을 회복할 수 있어 말기 퇴행성관절염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자가연골배양이식술은 무릎 연골을 떼어내는 수술과 떼어낸 연골에서 배양한 연골을 다시 주입하는 수술로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된다. 무릎에서 쓰이지 않는 부위의 연골을 약간 떼어내 4~6주간 배양하는데 배양 후에는 개체수가 10배 이상 늘어난다. 이를 다시 무릎에 주사하면 연골이 서로 붙으면서 원래 건강했던 상태의 연골로 회복하게 된다. 수술 시간은 20분 안팎, 척수 마취 후 진행하며 3~4㎝가량의 작은 절개만으로 시술할 수 있다.

자료제공 : 바른세상병원

한달 이상 통증, 퇴행성관절염 의심

여 원장은 “자신의 연골을 이용해 재생과정 중에 부작용이 없고 회복속도가 빠르다”며 “수술 후 합병증이나 후유증도 거의 없는 안전한 시술”이라고 했다. 수술 후에는 병원에 마련된 전문 클리닉이나 운동센터에서 정기적인 재활치료를 받는 게 좋다. 수술 후 6주 정도는 보조기와 목발을 이용하면서 주의가 필요하고 이후에는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여 원장은 “수술 후 3개월 정도면 조깅이 가능하고 6개월이 지나면 가벼운 운동을, 8개월 이후부터는 격렬한 운동을 하는 것도 무리가 없다”고 했다.

안전하고 효과가 좋은 수술이지만 누구에게나 가능한 것은 아니다. 여 원장은 “퇴행성관절염 초·중기 환자에게 가능하고 주변 연골이 아직 건강한 50세 이하에 적합하다”며 “손상 부위가 너무 크거나 말기 관절염 환자의 경우는 인공관절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내 자가연골배양이식술 기술력은 세계적으로도 인정받는 수준이다. 여 원장의 관련 논문은 세계적인 학술지에 SCI(science citation index, 과학기술논문색인지수)급 논문으로 등재됐고 카타르,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권 정형외과 전문의들이 국내 의료진으로부터 수술방법을 배워가고 있다. 무릎 관절에 도움이 되는 생활습관은 무엇일까. 여 원장은 “평소 쭈그리거나 무릎을 꿇는 자세를 피하고 한달 이상 통증이 계속되면 참지 말고 전문의를 찾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 자료제공 : 바른세상병원

<본 기사는 한겨레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기업의 정보제공을 위한 기사입니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