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7.26 19:53 수정 : 2010.07.26 19:53

아랍에미레이트(UAE)가 발주한 원자력 발전사업자로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한국형 원전 컨서시엄이 선정되면서 한국형 원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울산시 서생면 신고리에 건설중인 1,2호기 모습.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원전사업 장밋빛 전망에 경력직 뺏고 뺏기고 ‘과열’
독점체제 ‘주기기 사업’에 현대중공업, 참여 저울질

“임금을 올려주거나 정규직을 시켜주겠다며 후발업체들이 협력업체 인력까지 빼가는 통에 걱정입니다.”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신울진 원전 1·2호기 등을 잇따라 수주한 원전 시공업체 ‘맏형’격인 현대건설 원자력본부는 요즘 인력 유출로 골치를 앓고 있다. 국내외 수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원전 관련업계에서 인력 확보에 비상이 걸린 탓이다. 현재 국내엔 원전 8기 공사가 진행중이다. 지난달 터키와 ‘원전 사업 협력 양해각서’를 맺은 데 이어, 필리핀, 아르헨티나 등 한국형 원전에 관심을 보이는 나라들도 많아졌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2030년까지 전세계에 발주될 1400㎿급 원전이 350기 이상 될 것으로 추정한다. 한국 정부는 이 가운데 80기를 수주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 소개비 1000만원씩…인력확보 혈투 하지만 휴유증도 만만찮다. ‘원전 르네상스’ 시대가 열린다는 장밋빛 전망에, 관련업체들이 경쟁적으로 ‘파이 키우기’에 나서면서 빚어진 결과다.

무엇보다 원전 시공을 맡는 건설업계에서 인력 확보 경쟁은 과열 양상까지 보이고 있다. 올해 상반기 국외 플랜트 수주 역대 최고기록을 세우면서, 원전을 비롯한 플랜트 인력 구하기는 요즘 ‘하늘의 별 따기’가 됐다. 두산중공업, 대우건설, 에스케이건설 등은 올해만 플랜트 관련 경력직원을 200~400명씩 각각 늘렸다. 원전 사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선포한 지에스(GS)건설도 2008년 210명이던 발전사업 부문 인력을 올해 340명으로 늘린다. 몇몇 업체들은 경쟁업체에서 우수한 경력직원을 영입해오는 직원들에게 인센티브를 주기도 한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과도한 경쟁이 빚어지면서 심지어 1000만원씩 소개비를 주는 회사도 있다더라”며 “내부적으로는 급여, 복지를 경쟁업체 수준으로 맞춰 인력을 단속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외 원전 수주 상황
최근 새로 도전장을 내민 건설업체들이 늘면서, 이같은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두산건설, 동양건설산업, 롯데건설, 현대산업개발 등은 원전 시공을 위한 기본적인 기술력을 심사해 자격을 주는 전력산업기술기준(KEPIC) 인증을 새로 받았거나 신청해둔 상태다.

공기업도 인력난은 마찬가지다. 아랍에미리트 원전 수주 뒤 수출 지원, 신형 원전 개발 등 필요인력이 급격히 많아지자, 한국전력 등 원자력 관련 8개 공공기관은 상반기 2200여명을 충원했다. 정부는 오는 2020년까지 관련기관엔 1만여명의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경부 관계자는 “다음달 세부적인 원자력 인력 양성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학 특성화 유도 정책 등이 뼈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원전 관련업체 현황 및 건설 흐름
■ 원전 주기기 제작사업 경쟁체제로 공기업 스스로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한국전력은 지난주 실무형 원전 전문인력을 양설할 대학원 기공식을 열었고,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해부터 원전 시공인력을 4~5주씩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민간업체의 갈증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이다.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정부 계획은 당장 민간업체엔 도움 안되는 내용”이라며 “한시적으로 인력난은 불가피하다”고 꼬집었다.

지금까지 두산중공업이 독점해왔던 터빈 발전기와 원자로 등 원전 주기기 제작사업도 ‘경쟁체제’로 변화할 조짐이 보인다. 현대중공업은 관련 사업에 뛰어드는 방안을 저울질중이다. 1999년 정부의 산업합리화 정책으로 인해 한국중공업(현재 두산중공업)으로 일원화했던 조처가 풀렸기 때문이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투자 규모나 시기는 결정되지 않았지만, 내부적으로 사업에 뛰어들 의지가 있는 건 맞다”고 말했다.

황주호 경희대 교수(원자력공학과)는 “관련 업체들이 새로운 먹거리인 원전 사업에 죽기살기로 뛰어드는 것 자체를 막을 수는 없다”며 “국내에서 과도한 경쟁을 벌이기보다는 국외 수주를 대비해 실력을 쌓을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