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제공 : 가디언
|
하루에 6그램 이상의 소금을 먹지 말라! - 영국 식품안정청
빵에 들어가는 소금 양을 최대 14퍼센트까지 내려라! - 포르투갈 고혈압협회
짜게 먹으면 몸에 해롭다는 것은 알아도 소금이 어떻게 우리 몸을 해치는지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짠 음식을 먹고 나서 목이 마르거나 피로감이 몰려오는 것은 우리 몸속의 세포가 위험하다는 신호이다. 에를랑겐대학의 옌스 티체(Jens Titze)와 베를린대학 연구팀은 동물 실험을 통해 사이질, 즉 세포 사이사이에 소금이 저장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염분이 높은 음식을 섭취하면 대식세포 안의 조절기가 특정 유전자를 발현시키는데, 이 유전자는 수분 공급과 혈액순환을 담당하는 림프계에 영향을 미친다. 즉, 과다섭취된 소금이 세포외조직에서 물과 결합하기 때문에 세포는 수분을 빼앗기고 바짝 말라버리게 된다. 고혈압, 비만, 신장질환, 시력 약화, 정신질환, 만성피로 등 현대인들이 앓고 있는 질병은 모두 이에서 비롯된다. 《소금의 역습》(가디언/값12,000원)은 현대인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소금의 위험성과 소금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리가 알아야 할 모든 것을 다룬다.
입맛을 당기는 짠맛, 태아 때부터 중독된다
김치, 젓갈, 국물 등을 즐겨 먹는 한국 사람들은 대부분 권장량보다 3배나 많은 소금을 먹는다. 소금의 위험성을 알고 싱겁게 먹으려는 사람들이 많아지기는 했지만 그 효과는 미미할 뿐이다. 건강을 위협하는 소금이 부엌뿐 아니라, 생활 곳곳에 숨어 있기 때문이다. 슈퍼에서 파는 빵 하나에만 2그램이 넘는 나트륨이 들어 있다. 나트륨의 일일 필요량 1.2그램을 훌쩍 넘는다. 통조림이나 소시지 같은 가공식품, 그리고 빵이나 주스처럼 달콤한 음식도 마찬가지이다. 심지어 아기들의 분유나 이유식에도 소금이 첨가된다. 아기에게 모유를 먹인다고 해도 엄마가 먹은 음식 속의 나트륨은 그대로 전달되고, 배 속에 있는 태아도 탯줄을 통해 나트륨을 섭취하게 된다.
어렸을 때부터 시작된 소금중독의 결과는 치명적이다. 소금이 뇌의 쾌락중추를 자극해 점차 더 많은 소금을 먹게 하기 때문이다. 이는 비만, 당뇨, 고혈압 등 성인병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 뇌에도 영향을 미쳐 정서를 불안하게 하고 집중력을 낮춘다. 이 뿐만 아니라 피부 속 콜라겐의 수분을 빼앗아 피부 노화를 일으키기도 한다. 사람들은 그렇게 매일 필요량 이상의 소금을 섭취하고, 각종 질병에 노출되게 된다. 이외에도 이 책에는 소금의 숨겨진 이면이 낱낱이 밝혀져 있어 소금중독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기 충분하다. 당신도 예외일 수는 없다. 다음의 자가진단을 통해 소금중독 여부를 확인해보자. 만약 다음 7문항 중 3문항 이상에 해당된다면, 소금중독을 의심해봐야 한다.
|
자료 제공 : 가디언
|
소금을 줄이고 건강을 지키는 생활실천법 제시! 소금이 몸에 좋지 않다고 하루아침에 모든 소금을 일절 끊어버릴 수는 없다. 저자는 소금중독에 대한 경고뿐 아니라 생활 속에서 자연스레 소금 섭취를 줄일 수 있는 실용적인 대안을 함께 제시한다.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과일을 넣거나 허브나 향신료를 사용하면 소금 양을 줄이고 고유한 맛과 향을 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선을 구울 때 소금 대신 레몬즙을 뿌리면 비린내가 제거되고 생선살도 탱탱해진다. 또한 칼륨이 풍부한 고구마, 감자, 오이, 부추, 버섯 등을 섭취하면 몸속 나트륨이 배출된다. 만약 어묵볶음에 사과를 넣는다면 단맛을 내는 것은 물론, 사과 속 칼륨이 나트륨을 체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책은 이렇게 일상 속에서 소금을 줄이는 요령, 소금을 줄인 건강음식, 염분 배출을 돕는 음식에 이르기까지 소금을 줄이는 음식과 생활습관을 충실히 담았다. 소금이 많이 함유된 식품과 칼륨이 많이 함유된 식품 목록도 부록으로 담아 유용할 것이다.
|
자료 제공 : 가디언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