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1.03.25 11:12
수정 : 2011.03.25 11:12
|
자료 제공 : 두영씨앤티
|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지정 식품공장 설계•시공 전문기업인 (주)두영씨앤티(대표 이기영)가 식약청 연구과제(2006년도)인 ‘GMP 제형별 설계도 모델케이스’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독자 개발한 ‘HACCP지정 기능형 공장’이 각광을 받으면서 최근 주문이 폭주하고 있다. 지난해 일괄턴키(LSTK) 방식으로 수주한 100억원대의 HACCP규격 제빵공장 신축 공사계약을 포함해 올 상반기 중에 성사될 대형 프로젝트 수주 건수도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두영씨앤티의 경쟁력은 식품공학적 이론이 겸비된 CEO의 기술력과 엔지니어링 사업분야를 HACCP공장에 집중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이기영 대표의 이력을 살펴보면 10여 년간 해태그룹 재직 시 공장설계에서 시공, 기술개발 업무로 탄탄하게 다져진 현장 경험과 대학에서 발효공학, 대학원에서 식품공학을 전공한 이론을 겸비하였다. 1998년, 식품 설비 엔지니어링 사업으로 출발한지 불과 2개월만에 조선호텔 베이커리의 제빵공장 설계 및 감리 계약을 성사시켰다. 출발이 좋았던 만큼, 13년이 지난 지금도 식품공장 엔지니어링 분야에 집중할 수 있었다. 이 같이 한우물만 파며 식품분야에 집중한 결과, HACCP지정 식품제조 및 가공공장의 신축 및 개•보수 공사와 관련한 시공과 설비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단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주요 시공실적 중 제빵공장 분야는 롯데브랑제리, 삼성 테스코아띠제블랑제리, 서울식품 등이 있고 HACCP지정 수산물 가공공장 엔지니어링 분야도 충분히 기술력을 인정받아 국내 굴지의 수산기업인 동원산업, 삼영산업, 수협중앙회 수산물 가공공장 등이 있으며 현재도 일부 지자체의 수산물산지가공 시설 사업자를 위한 젓갈류 등의 수산물 가공공장을 일괄발주 받아 공사 중에 있다. 그 밖에도 빙과류, 김치류, 단무지, 면류, 만두류, 장류 공장을 포함하여 2009년 이후 대기업 주류공장 위생화 수선공사 설계•시공분야의 협력사로 참여하면서 주류 및 우유업계의 위생화 엔지니어링 사업에도 가시적인 성과가 기대되고 있다.
|
자료 제공 : 두영씨앤티
|
최근에는 외식프랜차이즈 기업들이 가맹점에 공급하는 식자재의 표준화 및 단순화를 위한 시스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CK(중앙조리시설)공장 구축 시 HACCP지정을 반드시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HACCP 컨설팅 문의와 HACCP지정 기능형 CK공장의 시공 문의가 부쩍 늘어나고 있다. 이 분야의 실적 중 대표적인 것은 홈쇼핑이나 온라인 판매를 가능하게 한 레토르트 타입의 설렁탕 농축 엑기스를 가마솥에서 끓여낸 손끝 맛과 동일한 맛을 농축 라인의 설계•시공으로 구현해 독자적인 기술력으로 이루어낸 신선식품의 신선설렁탕 김포공장 설계 및 감리 공사를 비롯하여 놀부NRG의 음성 CK공장 및 조리가공공장 HACCP 엔지니어링 설계가 있다.
또한 주력사업의 근간이 되었던 GMP(우수의약품제조관리기준) 공장의 설계 및 시공에도 적극 참여하여 대덕바이오를 포함한 풍기인삼농협, 충북인삼농협, 홍삼닷컴, 고려인삼한백식품 여주공장 등의 인삼 가공공장과 같은 건강기능식품의 GMP공장의 설계 및 시공 실적도 꾸준히 쌓아가고 있다.
두영씨앤티의 향후 전망도 매우 밝다. 정부가 매년 농•수•축산물을 대상으로 HACCP적용 계획을 마련하고 1996년부터 HACCP 지원 사업을 전개하여 식품제조 및 가공기업의 투명한 공장 관리기준을 강화하고 있어 이미 대형 할인매장이나 백화점 업체들도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환경변화에 맞추어 엄격한 HACCP공장 시설을 갖춘 기업과의 거래를 대폭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외시장 역시 FTA(자유무역협정) 체결 등으로 국가간 무역 장벽이 없어짐에 따라 미국•캐나다•유럽•호주•싱가포르 등 선진국에서도 HACCP적용을 의무화하고 있어 우리나라 HACCP공장의 시공 기술력이 충분히 통할 수 있다고 보고 농•수•축산물 수출에 주력하고 있는 중화권에 우선 진출할 예정이다.
두영씨앤티는 정부출연기관인 한국식품정보원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HACCP교육 사업을 지원하며 HACCP지원사업단에서 주최하는 기술세미나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산학이 쏟아내는 다양한 이론과 사례가 식품제조 및 가공업체의 HACCP환경에 적합한 설계•시공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기영 대표는 아직도 끝나지 않은 공부를 계속하고자 현재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식품공학 분야의 특화된 기술로 10여년 넘게 한우물을 판 결과가 이제 결실을 맺고 있다”며 “향후 식품관련 엔지니어링 회사로 독보적인 자리를 확고히 하고자 IPO(기업공개)를 통하여 기업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를 위해 최근 프랜차이즈 기업인 김가네에서 근무한 임영태 상무이사를 마케팅 담당 임원으로 영입하고 대외 홍보를 적극적으로 전개할 예정이며 중•대형 프랜차이즈 기업의 CK공장 신설 및 증설 계획에도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홈페이지 :
www.dooyoung.co.kr
문의 : 031-713-2911
* 자료 제공 : 두영씨앤티
<본 기사는 한겨레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기업의 정보 제공을 위한 기사입니다.>
광고
기사공유하기